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도뉴스

제목, 작성일, 조회, 내용, 첨부로 구성된 보도뉴스 상세화면입니다.
제목 사회적 문제, 유기견을 줄이기 위한 반려견 유전자 지문 감식법 개발 착수
작성일 2008-12-08 조 회 3198

사회적 문제, 유기견을 줄이기 위한

반려견 유전자 지문 감식법 개발 착수

   

□ 농촌진흥청(청장 이수화)은 개의 39 염색체에 대한 1600개 초위성체(microsatellite) 마커정보를 확보하였고 그 중 15개의 초위성체 마커를 활용하여 7품종, 192두에 대한 유전자분석을 실시하여 진도개, 풍산개, 새퍼드, 말리노이즈, 스프링거 스파니엘, 비글, 레트리버 등 품종별 특이 유전자좌위를 분류하여 친자감별이나 개체식별에 활용하고 있다. 또한 개 단일염기다형성(SNP) 마커 330만개를 확보하였고 그 중 활용성이 높은 1,300개를 선발하여 품종간 유전적 다형성 검증실험에 착수하였다.

 

□ 농촌진흥청은 2007년부터 국내 토종견 및 특수목적견 활용 연구를 위하여 진도개축산사업소(전남 진도), 풍산개테마마을(경기도 안성), 삼성화재 안내견학교(경기도 용인)와 검역탐지견센터(경기도 인천)로부터 진도개 300두, 풍산개 20두, 특수목적견 500두에 대한 혈액시료를 공급받아 유전체 연구를 확대하고 있다.

 

□ 국내 애견산업은 국민소득의 증가와 생활방식의 개인화 및 디지털문화의 확대에 의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2006년 국내 애견 수는 약 530만 마리로 추정하고 있으며, 애견 인구는 약 350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2007년 애견 관련 산업의 경제적 가치는 최소 1조원 정도 예상하고 있다.

 

□ 그러나 2006년도 농림부 보고에 따르면 국내에 버려진 유기견의 수가 5만마리를 넘고 2007년에는 전년도 대비 약 3.6%가 증가해서 7만마리가 넘을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2008년도에도 경기침체 및 사료값 인상 등으로 유기견 수는 급증하여 광견병 등과 같은 질병전파 및 유기견의 들개화로 인한 자연생태계의 파괴 등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 2008년 8월부터 경기도 성남시는 생체주입형 마이크로칩을 이용한 동물 등록제를 전국에서 처음으로 시범 실시한다. 마이크로칩을 통해 동물 고유번호와 소유자의 이름, 주소, 연락처, 개의 출생일과 품종, 성별 등이 관리된다. 그러나 인위적이고 악의적으로 마이크로칩의 제거시 모든 정보가 유실될 수 있고 체계적 추적이력시스템을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반려견마다의 고유의 유전자 정보 확보 및 국가적 통합관리 필요성이 요구되고있다.

 

□ 개 유전자 감식법 개발은 전국 확대․활용시 책임있는 애견 문화 정착을 통해 사회적으로 문제화 되고 있는 유기견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고 우수혈통고정을 통한 세계 명견 수출 및 개의 유전질환예방을 위한 유전자 마커 개발을 통해 반려견 선진 문화정착을 위한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예정이다.

 

□ 현재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에서는 개 유전체연구를 위해 ▲진도개의 특수목적 활용을 위한 유전체연구(담당자:최봉환) ▲개 질병유전체 발굴 및 유전마커를 이용한 질병 연관성 연구(담당자:최봉환) 등 총 2개 연구과제를 2007년부터 진행 중에 있다.

 

【용어설명】

○ 초위성체 마커 : 1-6개의 염기서열이 반복적 다형성을 갖는 유전자좌위

○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 유전체내에 하나의 단일염기(A, T, G, C)가 개체간에 다형성을 갖는 유전자좌위  

첨부

컨텐츠 담당부서 정보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정보

  •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46]
  • 갱신주기 : 변경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