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도뉴스

제목, 작성일, 조회, 내용, 첨부로 구성된 보도뉴스 상세화면입니다.
제목 동물매개치유 대신 ‘동물교감치유’로 불러주세요
작성일 2018-03-19 조 회 3221

대표이미지

동물매개치유 대신 동물교감치유로 불러주세요

- 농촌진흥청, 전문가국민 의견 수렴해 대체 용어 확정 -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동물매개치유용어를 일반인들이 쉽게 이해하고 느낄 수 있도록 동물교감치유로 바꿔 부르기로 했다.

 동물교감치유는 사람과 동물의 교감을 통해 정서적, 인지적, 사회적, 신체적인 문제 예방과 회복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활동을 의미한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용어는 영어권 국가에서 애니멀 어시스티드 테라피(Animal Assisted Therapy)’ 등으로 부르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동물매개치료또는 동물매개치유로 통용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동물매개치유의 매개라는 단어가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제기됨에 따라 용어 변경을 추진했다.

 전문가(1)와 일반인(2)을 대상으로 올해 2월과 3월 두 차례에 걸쳐 대체 용어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동물교감치유가 87%로 가장 많은 표를 얻었고, 동물치유(6%), 동물활용치유(4.9%), 동물보조치유(2.1%)가 뒤를 이었다.

 이는 사람과 동물의 사이의 교감을 중시하는 사회 흐름과 활용이나 보조라는 단어에 대한 거부감 때문으로 보인다.

 국립국어원에서도 감수 결과 동물이 매개가 되어 다른 둘 사이를 맺어주는 것이 아니라 동물과 사람이 교감해 사람이 치유를 받는 방법이므로 매개보다는 교감이 더 적절한 것으로 보인다는 의견을 보내왔다. 대체 용어는 국립국어원 표제어 등록을 추진 중이다.

 농촌진흥청 기술지원과 유지현 농촌지도사는 현재 국내 산업계에서는 동물매개치료 또는 동물매개치유로 통용되고 있는 만큼 대체 용어를 알릴 수 있도록 홍보를 꾸준히 해나가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농촌진흥청은 반려동물과 치유 농업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늘고 동물이 지닌 치유 가치의 중요성이 주목받음에 따라, 동물교감치유의 보편·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치유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문의처 : 기술지원과 유지현 농촌지도사, 063-238-7205>

첨부

컨텐츠 담당부서 정보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정보

  •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46]
  • 갱신주기 : 변경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