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먹거리

국산 사료 경쟁력 강화
비전
  • 반려동물 먹거리 신 문화 조성
추진배경1
  • 경제성장, 사회구조변화(1인가구 및 고령화 추세) 등으로 반려동물 연관 산업의 지속적 성장
  • 전체 반려동물 관련 산업 중 사료 분야는 가장 기본적인 산업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함
    • 국내 반려동물 보유가구 비율(단위 : %) 2012년 17.9 2015년 21.8 2018년 23.7 2020년 27.7 - 출처 : 농식품부 국내 반려동물 보유가구 비율
    • 국내 관련 산업 시장규모 추이(단위 : 조원) 2015년 1.9 2020년 3.4 2027년 6.0 - 출처 : 농식품부 국내 관련 산업 시장규모 추이
추진배경2
  • 반려동물 사료에 대한 국내 업체의 짧은 사료 연구개발 역사
  • 국민과 산업에서의 다각적 요구에 따라 국가 차원의 기술 지원 수요 증가
    • - 국민 : 안심하고 직접 만들어 먹일 수 있는 기술 요구
    • - 산업체 : 과학적 효능 평가 기반 기능성 사료 개발 요구
    • 반려동물 산업 시장규모(단위 : 억원) 2015년 사료시장 5,430 전체시장 18,994 2016년 사료시장 6,870 전체시장 21,455 2017년 사료시장 8,891 전체시장 23,332 2018년 사료시장 9,600 전체시장 26,510 2019년 사료시장 9,800 전체시장 30,002 이후 생략 2024년 사료시장 11,480 전체시장 49,731 - 출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반려동물 산업 시장규모
    • 반려동물 사료의 수입 현황(단위 : 중량-톤, 금액-만 불) 2015년 중량 4만 7865톤 금액 147,945만 불 2016년 중량 5만 3292톤 금액 171,327만 불 2017년 중량 6만 597톤 금액 209,877만 불 2018년 6만 4015톤 금액 238,927만 불 2019년 중량 5만 8642톤 금액 247,026만 불 반려동물 사료의 수입 현황
추진전략 및 체계

컨텐츠 담당부서 정보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정보

  • 담당부서 : 동물복지과[063-238-7061]
  • 갱신주기 : 변경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