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영농활용명,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영농활용 글 상세입니다.
    영농활용명 소비자의 소고기 소비실태 및 구매 인식에 관한 연구
    성과주관부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기술지원과
    품목코드 농업경영ㆍ정보 / 경영 / 마케팅
    주저자 배형호
    기술유형 경영 / 마케팅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가공 기술분야
    성과년도 2018 성과적용일 2023년06월
    첨부파일

    영농기술 영농정보(소비자의 소고기 소비실태 및 구매 인식에 관한 연구 배형호).hwpx     다운로드

    □ 배경 ○ 단계적 일상회복 기대 속 소고기에 대한 소비실태 및 구매인식에 대해 코로나 19 이전과 이후를 비교 분석하여 연구 및 기초자료로 활용함 ○ 인구통계별, 세대별 소고기 소비행태와 니즈를 파악하여 소비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함(전국 20~69세, 1,700명, 인터넷 조사, 2022, 07.07~19.) □ 개발된 영농기술정보 ○ 소고기 취식빈도 - 가정 내에서 소고기를 주 1회 이상 취식하는 비율은 49.9%로 ‘19 년 대비 1.7%p 증가한 것으로 조사됨. 가구 내 소고기 취식률은 주 3회 이상 12.8%, 주 1~2회 37.1%, 월 1~2회 취식하는 비율이 38.4% 로 조사됨 ○ 소고기 연간 소비량 추정 - 우리나라 국민의 1인당 연간 소고기 소비량은 13.57kg조사됨, 가정 내 소비 8.73kg으로 전체 소비의 64.3%를 차지함. 외식 소비는 3.20kg으로 전체 소비의 23.6%로 조사됨 ○ 국산 대 수입 소고기 소비량 - 국산 소고기 소비 비중(58.2%)이 수입 소고기 비중(41.8%) 대비 높게 조사됐으나, ‘19년 대비 국산 소고기 소비 비중은 1.1%p 감소한 것으로 조사됨. - 가정 내 소비, 가정 외 외식 소비는 수입 소고기 소비 비중이 ’12년 이래로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가정 외식 소비는 ‘19년 대비 국산 소고기 소비 비중이 크게 증가하였음. 선물 소비의 경우, 국산 소고기 소비 비중이 80.9%로 매우 높게 조사됨 ○ 국산 대 수입 소고기 소비량 - 국산 소고기 소비 비중(58.2%)이 수입 소고기 비중(41.8%) 대비 높고 ‘19년 대비 국산 소고기 소비 비중은 1.1%p 감소한 것으로 조사됨. ○ 소고기 주 구입 장소 - 소고기를 주로 구입하는 장소는 대형마트(62.2%)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고, 다음으로 정육점(55.9%), 농·축협마트 (35.9%) 등의 순으로 조사됨 - ’19년 대비 대형마트에서 구입하는 경우가 감소했고 정육점에서 구입하는 비율이 증가했으며, 인터넷에서 구입하는 비율이 높게 증가함 - 대형마트, 인터넷, 동네슈퍼의 경우 접근 편리성, 다양한 부위 판매, 원산지 선택 가능, 저렴한 가격으로 조사됨. 정육점, 생산자 직매장의 경우 고기 맛, 원하는 부위 구입 가능, 농·축협마트의 경우 품질신뢰, 백화점의 경우 브랜드육 구입 가능, 서비스 우수, 위생이 매장별 차별적 주 구입 요인으로 작용함 □ 파급효과 ○ 소고기의 연간 소비량은 증가했으나 외식 소비는 감소했음, 국산 소고기에 대한 선호가 매우 높으나 가격 인상 시 한우 구입을 포기할 의사가 있어 소득이 낮은 집단과 젊은 가구에 대한 대비전략이 필요함 ○ 소고기의 경우 국내산 홍보를 강화하고 가격을 내릴 수 있는 방안, 부위별 조리법등을 모색해야 함 ○ 지역적 특색을 고려한 스토리텔링 및 소고기 선물용량을 품목별, 연령별로 고려해서 만들 필요 있음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27]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