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생명유전

개발 배경

  • 반려동물 등록제를 지원할 수 있는 과학적이고 편리한 유전자감식법 개발 필요 - 반려동물 등록현황('19) : 약 170만 마리(추정 반려견의 27% 수준)

    한국 펫사료 협회(2018)

  • 개, 고양이 개체식별 및 품종판별 유전자 감식기법 개발

개발 내용

  • 반려동물(반려견, 반려묘) 개체식별 및 품종판별 유전자 마커 개발
  • 개체식별(Dog, Cat) 설명 이미지 - 개체식별(Dog, Cat) 원본 이미지 보기

    특허출원(19년), 기술이전(20년)

  • 품종판별(Dog, Cat) 설명 이미지 - 품종판별(Dog, Cat) 원본 이미지 보기

    특허등록(17년), 기술이전(20년)

  • 반려동물 등록제도의 등록방법 활용방안(DNA 유전자감식법 도입) - 등록제 개선(안) 설명 이미지 - 동물등록제(현행) 및 반려동물 등록제(개선)의 흐름도. 동물등록제 흐름도. 1. 반려견 보호자(신청서 작성, 방문) → 2. 동물병원(확인, RFID 시술) 신청서 등록 → 3. 시, 군, 구청(동물보호관리시스템) → 4. 등록승인 및 발급  →  5. 등록증 확인 반려동물 등록제 흐름도. 1. 반려견 보호자(신청서 작성, 방문) →  2. 동물병원(구강상피세포체취) 신청서 등록 및 유전자 분석(기관 및 업체)  →  3. 시료배송, 분석결과 전달 →  4. 시, 군, 구청(동물보호관리시스템) 등록승인 및 발급 →  5. 등록증 확인 동물병원과 시, 군, 구청은 연결되어 있다. 원본 이미지 보기

파급 효과

  • 반려동물 의무등록제 보조수단 활용 및 유기동물 발생 예방에 기여
  • 반려동물 등록제 연착륙으로 반려동물 보호·복지 정책에 공헌

컨텐츠 담당부서 정보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정보

  • 담당부서 : 동물복지과[063-238-7312]
  • 갱신주기 : 변경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