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립축산과학원
홈으로
메뉴 닫기
국립축산과학원과 함께
반려동물 산업화 지원 기술 개발
추진성과
먹거리
행동복지
동물교감치유
생명유전
의료복지
반려동물 알기
반려동물 알기
반려견 소개
반려묘 소개
기타 반려동물
입양 또는 분양 방법
사육에 관한 기본사항
함께 외출하기
함께 여행가기
분실 및 유기
동물학대 금지
마지막 작별 준비
건강관리
일반 건강관리
반려견 건강상식
반려묘 건강상식
일반사료 구입 요령
건강관리정보
교감과 예절
사람과 동물과의 유대
반려견 예절
반려묘 예절
예절교육 정보
행정/법률 정보
반려동물의 의미
동물보호법
반려동물등록제
지역별 유기동물 보호소
반려동물 관리 책임
소식/이야기방
FAQ
보도뉴스
주메뉴
국립축산과학원과 함께
반려동물 산업화지원기술개발
추진성과
반려동물 알기
반려동물 알기
반려견 소개
반려묘 소개
기타 반려동물
입양 또는 분양 방법
사육에 관한 기본사항
함께 외출하기
함께 여행가기
분실 및 유기
동물학대 금지
마지막 작별 준비
건강관리
일반 건강관리
반려견 건강상식
반려묘 건강상식
일반사료 구입 요령
건강관리정보
교감과 예절
사람과 동물과의 유대
반려견 예절
반려묘 예절
예절교육 정보
행정/법률 정보
반려동물의 의미
동물보호법
반려동물등록제
지역별 유기동물 보호소
반려동물 관리 책임
소식/이야기방
FAQ
보도뉴스
HOME
국립축산과학원과 함께
반려동물
산업화지원기술개발
추진성과
먹거리
행동복지
동물교감치유
생명유전
의료복지
생명유전
생명정보 유전체 연구
반려견의 유전질환 조기진단 유전자 마커 개발
반려동물 개체식별 및 품종판별 유전자 마커 개발
개발 배경
반려동물 등록제를 지원할 수 있는 과학적이고 편리한 유전자감식법 개발 필요
- 반려동물 등록현황('19) : 약 170만 마리(추정 반려견의 27% 수준)
한국 펫사료 협회(2018)
개, 고양이 개체식별 및 품종판별 유전자 감식기법 개발
개발 내용
반려동물(반려견, 반려묘) 개체식별 및 품종판별 유전자 마커 개발
개체식별(Dog, Cat)
원본 이미지 보기
특허출원(19년), 기술이전(20년)
품종판별(Dog, Cat)
원본 이미지 보기
특허등록(17년), 기술이전(20년)
반려동물 등록제도의 등록방법 활용방안(DNA 유전자감식법 도입)
- 등록제 개선(안)
원본 이미지 보기
파급 효과
반려동물 의무등록제 보조수단 활용 및 유기동물 발생 예방에 기여
반려동물 등록제 연착륙으로 반려동물 보호·복지 정책에 공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