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립축산과학원
홈으로
메뉴 닫기
국립축산과학원과 함께
반려동물 산업화 지원 기술 개발
추진성과
먹거리
행동복지
동물교감치유
생명유전
의료복지
반려동물 알기
반려동물 알기
반려견 소개
반려묘 소개
기타 반려동물
입양 또는 분양 방법
사육에 관한 기본사항
함께 외출하기
함께 여행가기
분실 및 유기
동물학대 금지
마지막 작별 준비
건강관리
일반 건강관리
반려견 건강상식
반려묘 건강상식
일반사료 구입 요령
건강관리정보
교감과 예절
사람과 동물과의 유대
반려견 예절
반려묘 예절
예절교육 정보
행정/법률 정보
반려동물의 의미
동물보호법
반려동물등록제
지역별 유기동물 보호소
반려동물 관리 책임
소식/이야기방
FAQ
보도뉴스
주메뉴
국립축산과학원과 함께
반려동물 산업화지원기술개발
추진성과
반려동물 알기
반려동물 알기
반려견 소개
반려묘 소개
기타 반려동물
입양 또는 분양 방법
사육에 관한 기본사항
함께 외출하기
함께 여행가기
분실 및 유기
동물학대 금지
마지막 작별 준비
건강관리
일반 건강관리
반려견 건강상식
반려묘 건강상식
일반사료 구입 요령
건강관리정보
교감과 예절
사람과 동물과의 유대
반려견 예절
반려묘 예절
예절교육 정보
행정/법률 정보
반려동물의 의미
동물보호법
반려동물등록제
지역별 유기동물 보호소
반려동물 관리 책임
소식/이야기방
FAQ
보도뉴스
HOME
국립축산과학원과 함께
반려동물
산업화지원기술개발
추진성과
먹거리
행동복지
동물교감치유
생명유전
의료복지
먹거리
국산 사료 경쟁력 강화
반려동물 표준사료성분 Database 구축
반려견 사료 열량계산기
"집밥 만들기" 프로그램
반려동물 기능성 프리미엄 국산 사료 개발
국내 고유 반려동물 사료 영양표준 설정
반려동물 표준사료성분 Database 구축
개발 배경
반려동물 사료제조 시 원료사료의 영양성분 함량에 기반한 배합비 설계 필요
국내에서 사용되는 반려동물 원료사료의 영양성분 DB에 대한 산업계 요구 증가
개발 내용
식품 분류별 주요 원료사료 목록화
- 축산물, 수산물, 농산물, 부산물, 기타 총 5가지 분류에 식품원료 307종 목록선정
축산물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오리고기 등
수산물
멸치, 황태, 다시마, 연어, 미역 등
농산물
호박, 브로콜리, 양배추, 당근, 파프리카 등
Database구축에 필요한 주요 영양성분 선정
- 수분, 단백질, 지방, 칼슘, 인, 식이섬유, 아이노산, 지방산 등 반려동물 사료에서 중요한 필수영양성분 17성분 선정
농축산물 중심 원료의 반려동물 전용 사료 성분 Database 구축
- 식품 DB 활용 및 영양성분 분석을 통한 DB 자료 확보
* DB구축:반려동물 사료 성분 데이터베이스(C-2017-000027)
기대 효과
영양성분 DB구축을 통한 기초자료 제공으로 반려동물 사료업계 기술적 지원
- 영양학적으로 균형잡힌 사료개발 보급을 통한 반려동물의 삶의 질 향상
일반인이 가정식 반려동물 사료 제조시 영양을 고려할 수 있는 기초정보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