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려동물 사료 특화 제도 미비
- 국내 반려동물 사료 영양표준 부재
- 반려동물 사료 유형 2종 추가 예정
반려동물완전사료: 별도의 영양공급 없이 성장단계별 반려동물(개, 고양이)의 영양소 요구량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도록 영양 조성이 구성된 개·고양이 사료
기타 반려동물 사료: 반려동물사료 중 반려동물완전사료에 해당되지 않는 사료
- 개정 추진 중인 「사료 등의 기준 및 규격」 고시, ‘반려동물사료의 기타 표시사항’에 적용 예정
- 반려동물 사료 영양학적 기술 정보 제공으로 기초 영양생리 이해도 증진
- 영양균형 완전 사료 설계에 필수적인 권장 영양수준 제시
권장 영양소 기준: (개) 성견 38종, 성장/번식기 40종 (고양이) 성묘 41종, 성장/번식기 43종
- 가축용 사료와 구분되는 반려동물 사료 분류체계 마련을 통해 펫푸드 제조, 유통 및 판매 전반에 걸친 관리체계 강화
- 국내 반려동물 사료 신뢰도 및 글로벌 시장 경쟁력 제고
- 정확한 정보에 기반한 사료 선택으로 소비자 알 권리 보장
- 구체적인 권장 영양수준을 기반으로 한 고품질 사료 R&D 지원
- 독자적 반려동물 영양표준 바탕의 국제 연구 협력 촉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