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영농활용명,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영농활용 글 상세입니다.
    영농활용명 신생 송아지(젖소)의 항생제 내성을 고려한 항생제 사용 방법
    성과주관부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질병방역과
    품목코드 축산 / 대가축 / 한우 / 기타
    주저자 오상익
    기술유형 병해충(질병) / 병해(질병) 기술활용유형 농업기술길잡이
    활용분야 축산생명환경 기술분야
    성과년도 2020 성과적용일 2020년09월
    첨부파일

    영농활용-030401-축산생명환경-가축질병방역과-오상익-신생 송아지(젖소)의 항생제 내성을 고려한 항생제 사용 방법.hwp     다운로드

    ○ 송아지의 항생제 내성률이 성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음 - 6개월령 이하 개체들의 Ampicillin, Streptomycin, Sulfisoxazole, Tetracycline 항생제 내성률이 6개월 이상의 개체들보다 유의적으로 높음(p < 0.05) * (Ampicillin 내성) 6개월령 이하(78.8%), 6개월 이상(8.7%) * (Streptomycin 내성) 6개월령 이하(85.0%), 6개월 이상(15.4%) * (Sulfisoxazole 내성) 6개월령 이하(83.2%), 6개월 이상(18.4%) * (Tetracycline 내성) 6개월령 이하(70.0%), 6개월 이상(14.2%) ○ 신생 송아지는 생후 2, 3일령 이내에 대부분 항생제 내성 대장균을 분변으로 배출 * 조사 대상 송아지(10두, 1일 단위 개체 추적)와 그 어미는 항생제 처방 이력이 없음 * 모든 내성 대장균은 streptomycin, sulfisoxazole, tetracycline에 내성을 보임 - 신생 송아지 항생제 내성률 관리는 농장 내 항생제 내성균 저감에 핵심 관리 요소 * 격리 우사로 신생 자축 도입 시에는 철저한 청소와 소독으로 잔존하는 항생제 내성균을 사멸시켜야함 ** 격리 우사 사용 도구 및 기구는 따로 사용하여야 함 ○ 송아지 분변 대장균의 항생제 내성 패턴은 출생 14일 전·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임 * 조사 대상 송아지 중 5두는 14∼25일령에 항생제 처방(베타락탐계) 이력이 있으며, 2두는 출생 전 어미에서 항생제 처방 이력이 있음 * 출생 14일 이후 시점을 기점으로 베타락탐계 항생제 내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함(p < 0.001) - 농장의 전반적인 항생제 내성 패턴을 파악하여 내성 없는 계열의 항생제를 선택함으로서 항생제 처방 효과 상승과 항생제 사용에 따른 내성균 배출을 억제해야 함 * 송아지 세균성 설사병일 경우에는 Amoxicillin 또는 Ampicillin을 비경구 투여가 효과적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36]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