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래흑돼지 활용 품종 개발 미비로, 스페인 문화 특색을 지닌 이베리코 돈육의 수입 증가(약 2천톤/연)로 인하여 재래종 맛 특성과 사회적 가치를 지닌 우리나라 고유품종 개발이 필요해졌습니다. 이에 토종 재래돼지 혈통을 잇고 재래돼지 고유의 맛을 유지하면서 성장 능력을 보완한 '우리흑돈' 이 개발 되었습니다.
개발자 : 양돈과 홍준기 연구사. 041-580-3458
우리흑돈이란
재래돼지의 육질은 유지하면서 성장률을 개선해 경제성을 높인 재래돼지 단점을 개선한‘우리흑돈’ 이 개발되었습니다.
축진듀록(개량종)
하루 체중 증가량 850g
한번 낳는 새끼 수 10마리
재래돼지
하루 체중 증가량 500g
한번 낳는 새끼 수 6마리
1920년대 편찬된 농업기술편람에 한국재래돼지는 ‘모색은 흑색이며 성장이 느리고 체구가 작다. 하지만 고기 맛은 조선 사람의 입맛에 적합하다’고 기술되어 있습니다.
‘우리흑돈’ 개발 과정1927년을 시작으로 2015년에 상표권 및 특허등록
1927 (권업모범장) 재래돼지는 최하등하여 이를 개량하는 것이 필요
1988 국립축산과학원 재래돼지 복원 시작
2008 국립축산과학원 재래돼지 ‘축진참돈’ 복원 성공
2013 제주재래돼지 기반 ‘난축맛돈’ 개발
2015 내륙재래돼지 기반 ‘우리흑돈’ 개발
참고
‘우리흑돈’ 개발체계도
우리흑돈 보급
‘우리흑돈’ 거점 농가 및 보급기반 구축
표 제목 : ‘우리흑돈’농가 보급 (’16∼’24) 표 구성 : 지역(강원 삼척, 강원 태백, 세종시 등 '8개 도 도시명' 또는 '광역시명'), 2016년~2023년별 보급두수, 총합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의 마지막 열은 각 연도별 총합계를 표시한다.
지역
2016
2017
2018
2020
2021
2022
2023
2024
총합계
강원 강릉
1
1
강원 삼척
15
10
25
강원 태백
3
3
경기 김포
40
2
42
경기 연천
21
31
52
경기 용인
8
25
27
60
경기 이천
10
10
경기 화성
22
1
23
경남 거제
3
2
2
7
경남 산청
46
10
71
8
135
경남 함양
42
20
91
4
36
31
15
239
경북 경산
10
42
22
44
67
65
63
313
경북 경주
120
120
경북 군위
135
135
경북 김천
15
30
51
37
31
10
14
188
경북 봉화
15
15
경북 영천
110
5
115
세종시
1
4
5
전남 고흥
8
8
전남 곡성
1
12
2
2
17
전남 나주
11
11
전남 담양
1
1
전남 목포
1
1
전남 무안
2
2
전남 영광
2
2
4
전북 익산
9
9
전북 장수
21
55
76
전북 진안
9
3
124
51
52
68
307
충남 논산
5
5
충남 서산
47
1
48
충남 아산
40
3
43
충남 예산
65
92
92
249
충남 천안
2
2
충남 청양
25
25
충남 홍성
24
24
충북 충주
2
2
총합계
59
104
72
346
218
506
558
459
2322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