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영농활용명,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영농활용 글 상세입니다.
영농활용명 |
TMR 사료 자동 급이 로봇 활용 |
성과주관부서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낙농과 |
품목코드 |
축산 / 대가축 / 젖소 |
주저자 |
박성민 |
기술유형 |
재배(사양) / 사양관리 |
기술활용유형 |
신기술보급사업 |
활용분야 |
축산자원개발 |
기술분야 |
|
성과년도 |
2020 |
성과적용일 |
2020년11월 |
첨부파일 |
영농활용-090101-축산자원개발-낙농과-박성민- TMR 사료 자동 급이 로봇 활용.hwp
다운로드
|
❍ (무인사료급이) 스스로 사료를 운반하여 소에게 먹이는 똑똑한 사료 급이 로봇 개발
- 기존 TMR(Total Mixed Ration) 배합기 연계 우군별 맞춤형 무인 사료 공급
* (특허 등록) 특허 제 10-1931615호, 명칭: 사료배합장치, 등록일: `18. 12. 17.
* (기술 이전) 주식회사 다운, 기술 실시료: 1,500만원/년(`18∼`19)
* (사업화) 매출액 : 65백만원(~`20년), `19-`21 신기술시범사업 채택, 사업 규모: 8억/년, 36개소)
❍ 구동 원리 및 순서
- (사전 준비)
① 사료 운반로 확보를 위한 우사 내·외부 마그네틱(자석) 동선 설정 및 설치
② TMR 배합기 연계 컨트롤러 설치 및 설정
③ 우군별 사료 급이 여부 및 급이량, 사료 급여 횟수 등 사료 공급 기준 설정
④ 충전 및 대기 장소 설정 및 충전기 설치
- (운행 순서)
① TMR 배합기로 이동하여 사료 충진 및 축사로 이동
② 우군별 설정 사료 급이량에 따른 전자 저울 기반 자동 사료 급이
* 사료 부족 시 자동으로 TMR 배합기로 이동사여 사료 재충진 후 재급여
③ 설정 급이 완료 후 자동 충전소로 이동 및 대기
❍ 주요 기능
- (무인 사료 급이) 여러 종류의 사료를 원하는 구간으로 선택적 급이 가능
- (사료 밀어주기) 사료 밀어주시 전용 판 설치로 사료 밀어주기 기능 추가
- (완전 자동화) TMR 사료 운반 및 급이, 충전 대기 등 완전 자동화 시스템 구현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