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영농활용명,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영농활용 글 상세입니다.
영농활용명 |
(농업기술길잡이)돼지 품종에 따른 수퇘지 웅취발생물질 함량 정보 제공 |
성과주관부서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양돈과 |
품목코드 |
축산 / 중가축 / 돼지 |
주저자 |
김두완 |
기술유형 |
재배(사양) / 사양관리 |
기술활용유형 |
농업기술길잡이 |
활용분야 |
축산자원개발 |
기술분야 |
농업현장대응 |
성과년도 |
2020 |
성과적용일 |
2020년11월 |
첨부파일 |
영농활용_양식1_정보제공_웅취저감_김두완-수정.hwp
다운로드
|
□ 배경
○ EU는 동물복지 정책 강화로 2018년부터 수퇘지 거세 금지를 권고하고 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동물복지를 고려한 외과적 거세를 대체하는 다양한 웅취저감 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음
- 수퇘지의 주요 웅취 발생물질은 안드로스테논, 스카톨, 인돌
- 안드로스테논은 수퇘지의 생식세포에서 생성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으로 침샘과
혈액 내로 배출되고 지방조직에 축적됨
- 스카톨은 장내에서 필수아미노산인 트립토판이 미생물의 대사산물인 스카톨과 인돌로
흡수되어 혈관을 통해 지방조직에 축적됨
□ 영농정보 개요
○ 돼지 품종에 따른 수퇘지의 지방조직 내 웅취물질 함량 기초통계량 정보 제공
- 웅취발생 주요 물질 : 안드로스테논, 스카톨, 인돌
- 수퇘지 품종별 안드로스테논 함량 순위 : (두록, 재래돼지) > (랜드레이스, 요크셔)
- 수퇘지 품종별 인돌 함량 순위 : 재래돼지 > (요크셔, 두록, 랜드레이스)
□ 활용방법
○ 적용대상
- 양돈농가, 돼지고기 가공업체 등
○ 활용방법
- 돼지 품종에 따른 수퇘지의 지방조직 내 웅취물질 함량 기초통계량 정보 제공
- 수퇘지의 웅취를 저감하는 사양관리방안에 대한 양돈농가 정보 제공
□ 연구결과
(1) 돼지 품종에 따른 수퇘지 지방조직 내 웅취물질 함량 비교 제시
(2) 돼지 품종별 수퇘지의 웅취발생물질 함량 및 역치값
○ 안드로스테논 함량
- 두록종과 재래돼지에서 안드로스테논의 함량이 랜드레이스와 요크셔보다
유의적으로 높음((p>0.05), 전품종에서 역치값보다 높게 나옴
- 안드로스테논의 역치값 : 0.20~0.25㎍/g
○ 스카톨 함량
- 재래돼지의 스카톨함량은 다른 품종보다 높은 경향을 보이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고, 역치값보다 낮음
- 스카톨의 역치값 : 0.5~1.0㎍/g
○ 인돌 함량
- 재래돼지의 인돌함량은 다른 품종보다 유의적으로 높음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