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영농활용명,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영농활용 글 상세입니다.
    영농활용명 30도 이상 고온 노출 기간(개월)이 비육중기(18~22개월령) 거세한우 육질등급 1+이상 출현율 저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정보 제공
    성과주관부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연구소
    품목코드 축산 / 대가축 / 한우
    주저자 이은미
    기술유형 재배(사양) / 사양관리 기술활용유형 농업기술길잡이
    활용분야 축산자원개발 기술분야
    성과년도 2020 성과적용일 2020년11월
    첨부파일

    영농활용-010201-축산자원개발-한우연구소-이은미-30도 이상 고온 노출 기간(개월)이 비육중기(18~22개월령) 거세한우 육질등급 1+이상 출현율 저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정보 제공.hwp     다운로드

    □ 배경 ○ 한우는 영하 40℃를 견딜 정도로 추위에 강한 편이나, 열 스트레스에는 상대적으로 취약한 특성을 나타냄 ○ 한우의 사육적온은 10∼20℃이며, 비육우는 25℃이상이 되면 체온 상승으로 인하여 사료 섭취량이 감소하고, 호흡수 증가 등 더위스트레스 반응을 나타내어 생산성 저하를 일으킬 수 있음 ○ 고온 환경이 한우거세우 생산성 저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거세한우 고온기 스트레스 저감 영양물질 및 사양, 환경 적응기술 조사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농업기술 길잡이 6(한우))』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함 □ 개발된 영농기술정보 ○ ’15∼’19년 30도 이상 고온일수 분석 시 1년중 5∼9월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높은 기온을 나타내었음 ○ 3~6월 출하 시 8~12월 출하 시 보다 1+이상 출현율이 유의적으로(P<0.0001) 낮게 나타난 것은 비육 말기(23개월령 이상)보다는 비육 중기(18∼22개월령)의 고온 스트레스 영향 때문임 - 3~6월 출하 시, 비육중기(18∼22개월)에 5∼9월(30도 이상 고온일수↑)동안 3~5개월의 고온 노출이 있었고, 8~12월 출하 시에는 0~2개월의 노출이 있었음 ○ 거세한우 비육 중기(18∼22개월령)에 5∼9월(30도 이상 고온일수↑)동안 4~5개월 고온 노출 시, 거세한우 육질 1+이상 출현율이 유의적으로(P<0.0001) 낮게 나타나, 고온기(5∼9월) 동안 비육중기 육질 저하 방지를 위한 사양관리가 필요함 □ 파급효과 ○ 30도 이상 고온 환경으로 인한 한우 거세우 생산성 저하에 관한 구체적인 자료 제공 가능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36]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