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영농활용명,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영농활용 글 상세입니다.
영농활용명 |
국내자생 바랭이의 파종량별 생산성 및 사료가치 |
성과주관부서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초지사료과 |
품목코드 |
축산 / 조사료 / 사료작물 |
주저자 |
이세영 |
기술유형 |
재배(사양) / 작부체계(작형) |
기술활용유형 |
교육·현장연시 |
활용분야 |
축산자원개발 |
기술분야 |
|
성과년도 |
2020 |
성과적용일 |
2020년11월 |
첨부파일 |
영농활용-020701-축산자원개발-가축개량평가과-이세영-국내자생 바랭이의 파종량별 생산성 및 사료가치 .hwp
다운로드
|
<국내자생 바랭이의 파종량별 생산성 및 사료가치>
□ 배경
○ 바랭이는 야초류 특성상 특정 재배기술 필요없이 재배가 가능하며
생산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음
○ 이러한 이유로 미국에서는 조사료원으로 이용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재배 정보가 많지 않음
○ 조사료 연중생산 농가를 대상으로 하계작물로서의 바랭이 재배기술, 생산성 및 사료가치를 제시하고자 함
□ 개발된 영농기술정보
○ 국내자생바랭이 재배기술
- 파종은 5월 하순경, 산파가 적합함. 많은 종자가 생산되어 한번 파종 후 종자 낙종으로 이듬해 생산도 가능함
- 파종량은 많을수록 높은 수량을 보였으나 16kg/ha파종시 수량6,919kg/ha로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남.
- 비료는 기비로 ha당 N 70, P2O5 100, K2O 100 시용
○ 사료가치 평가
- 바랭이는 화본과 식물로 출수기 수확시 CP 13.3%로 양질의 조단백질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출수기에 수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함
□ 파급효과
○ 야생사료자원 재배에 대한 영농기술정보 제시를 통해 부존 조사료자원의 효율적 이용유도
○ 조사료 재배 작물의 다양화를 통한 조사료 생산 확대 및 국산 조사료 자급률 향상가능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