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영농활용명,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영농활용 글 상세입니다.
영농활용명 |
비육후기 TMR 사료의 단백질 수준이 한우 성장 및 도체성적에 미치는 영향 |
성과주관부서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영양생리팀 |
품목코드 |
축산 / 대가축 / 한우 |
주저자 |
백열창 |
기술유형 |
재배(사양) / 사양관리 |
기술활용유형 |
현장실증연구 |
활용분야 |
축산생명환경 |
기술분야 |
|
성과년도 |
2020 |
성과적용일 |
2020년11월 |
첨부파일 |
영농활용-090101-축산생명환경-영양생리팀-백열창-비육후기 TMR 사료의 단백질 수준이 한우 성장 및 도체성적에 미치는 영향.hwp
다운로드
|
□ 배경
○ 사료 단백질의 적절한 급여는 가축의 성장과 유지를 위하여 필수적이나, 과도한 급여 시 사료비 상승 및 질소 배출량 증가의 원인이 됨
- 비육기에는 체유지를 위한 단백질만 필요하기 때문에 과도한 단백질 급여는 사료비 상승의 원인이 될 수 있음
○ 비육후기 한우 사료 내 조단백질 수준은 국내 일부 연구에서 비교적 넓은 범위인 12 ~ 15 %로 권유되고 있어, 적정 수준에 대한 검증 필요
- 2018년 축산원에서는 고단백․고에너지 사료 기반의 28개월 비육프로그램은 비육후기 사료 단백질 함량을 15%로 제시하고 있음
☞ 비육기간 단축과 함께 사료비 절감을 위해서는 단백질 급여수준의 최적화가 필요함
○ 본 결과는 비육후기에 저 단백질 사료 급여가 성장 및 도체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현장실증 시험에 활용하고자 함
□ 개뱔된 영농기술정보
○ 비육후기 TMR(건물기준) 조단백질(CP) 12.5%를 급여할 경우 15.0%와 비교시 생산성 및 육질등급에 차이가 없음
*비육후기 가소화 영양소총량(79%), 조사료 비율(볏짚)은 15% 시험
□ 파급효과
○ 비육후기 조단백질 사료비 급여로 배합사료 사료비 5.7% 저감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