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영농활용명,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영농활용 글 상세입니다.
영농활용명 |
수입 티모시의 조단백질 수준별 한우 영양소 소화율 및 TDN 활용 |
성과주관부서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영양생리팀 |
품목코드 |
축산 / 조사료 / 사료작물 |
주저자 |
이슬 |
기술유형 |
재배(사양) / 사료 |
기술활용유형 |
농업기술길잡이 |
활용분야 |
축산생명환경 |
기술분야 |
농업현장대응 |
성과년도 |
2020 |
성과적용일 |
2020년11월 |
첨부파일 |
영농활용-090101-축산생명환경-영양생리팀-이슬-수입 티모시의 조단백질 수준별 한우 영양소 소화율 및 TDN 활용 .hwp
다운로드
|
□ 배경
○ 티모시는 주로 등급이 부여되어 이용되고 있으나, 등급별 영양소 차이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농가 활용 시 어려움이 있음
- 일부 조단백질이 낮은 저등급의 티모시가 양질의 고등급 티모시로 잘못 인식된 상태로 유통되어, 사료 이용 시 농가의 혼선이 야기됨
○ 수입 티모시의 단백질 수준에 따른 가축의 사료 소화율 및 에너지가 분석을 통한 사료 가치 평가 결과를 농가에 제공하고자 함
□ 영농기술정보
○ 티모시의 조단백질 수준별 영양성분분석 결과
○ 티모시의 조단백질 수준별 소화율 및 가소화영양소 총량 (TDN)
- 티모시는 같은 품명으로 수입되더라도 등급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이 4.1%p 차이나며, TDN은 4.9%p 차이가 나타남
- 이와 같은 분석치를 반영한 배합비 작성 및 조사료 활용이 필요함
○ 축산 농가에서 티모시의 영양 수준을 평가하는 방법
□ 파급효과
○ 티모시의 조단백질 수준별 가축의 소화율과 에너지가를 활용한 사료 배합비 작성을 통해 농가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