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영농활용명,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영농활용 글 상세입니다.
영농활용명 |
양돈농가 돈사 내부 복합악취 추정을 위한 공기 중 황화수소 농도의 활용 |
성과주관부서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축산환경과 |
품목코드 |
축산 / 중가축 / 돼지 |
주저자 |
한덕우 |
기술유형 |
환경 / 시설환경 |
기술활용유형 |
교육·현장연시 |
활용분야 |
축산생명환경 |
기술분야 |
농업현장대응 |
성과년도 |
2020 |
성과적용일 |
2020년11월 |
첨부파일 |
영농활용-030301-축산생명환경-축산환경과-한덕우-양돈농가 돈사 내부 복합악취 추정을 위한 공기 중 황화수소 농도의 활용.hwp
다운로드
|
□ 배경
○ 냄새민원으로 인해 축산농가에 대한 규제 강화 추세
○ 우리나라의 공식적인 냄새강도 평가기법은 희석관능법
- 후각을 이용한 평가방법으로서 다수의 검사자(패널) 필요→주기적 측정 어려움
⇒ 돈사 냄새평가를 위해 측정이 용이하고 복합악취와 상관성이 높은 냄새지표 필요
□ 영농기술정보 소개
○ 수행 방법
- 양돈농가를 주기적으로 방문하여 돈사 내부 공기 중 냄새물질을 측정
- 동시에 돈사내부 공기를 포집하여 희석관능법을 이용한 복합악취를 측정
- 냄새물질농도와 복합악취 간의 상관성 분석 수행
- 복합악취와 상관성이 높으면서도 측정이 용이한 냄새물질 선발
○ 결과
- 돈사내부 복합악취와 상관성이 높은 지표 : 황화수소(r=0.737)
○ (활용방법) 양돈농가 돈사 냄새 강도 평가 지표로서 황화수소를 활용
□ 파급효과
○ 양돈농가 돈사 냄새평가에 필요한 지표물질 제시
○ 위해가스인 황화수소를 모니터링하여 돈사근로자 보건위생환경 개선에 기여
○ 가축 사육환경의 개선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