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영농활용명,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영농활용 글 상세입니다.
영농활용명 |
육계에 대한 더위스트레스 판정 방법 및 생산성 피해 수준 |
성과주관부서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영양생리팀 |
품목코드 |
기후자원 / 농업기상 / 기상재해 |
주저자 |
김혜란 |
기술유형 |
환경 / 기상환경 |
기술활용유형 |
교육·현장연시 |
활용분야 |
축산생명환경 |
기술분야 |
|
성과년도 |
2020 |
성과적용일 |
2020년11월 |
첨부파일 |
영농활용-010301-축산생명환경-영양생리팀-김혜란-육계에 대한 더위스트레스 판정 방법 및 생산성 피해 수준.hwp
다운로드
|
□ 배경
○ 기후변화에 따른 고온사육환경으로 가축 생산성 피해 급증
○ 국외의 가축더위지수(THI)을 활용하고 있으나, 국내 환경 및 품종에 맞는 피해 수준과 사양기준 설정은 미흡
○ 농가의 즉각적인 대응을 위한 육계 생리특성을 활용한 스트레스 수준 파악 필요
□ 개발된 영농기술정보
○ 가축더위지수(THI)를 반영한 육계 더위스트레스 판정 영역
- 육계의 정상 호흡수는 60~70회, 직장체온은 40.5~41.5℃임
- 위험(29℃/60%)에서는 육계 호흡수 100회, 직장체온 41.6℃ 이상 올라가며 생산성 피해가 발생하기 시작함(체중 1.2kg 이후)
- 심각(33℃/60%)시 육계 호흡수 200회, 직장체온 42℃을 초과하며 생산성 저하가 심각하므로 주의 요망
* 호흡수 측정: 1분간 육계의 가슴 움직임과 팬팅시 개구호흡 횟수 관찰
* 직장체온 측정: 전자온도계를 항문에 약 2cm 주입 후 30초간 측정
○ 가축더위지수(THI) 4단계 따른 육계 생산성 비교(2주간 고온노출시)
- 양호(21℃/60%)와 주의(25℃/60%)의 생산성 차이는 없음, 30일령 체중 2.0kg
- 위험(29℃/60%)시 증체량 20%와 사료섭취량 16% 저하, 30일령 체중 1.7kg
- 심각(33℃/60%)시 증체량 51%와 사료섭취량 30% 저하, 30일령 체중 1.4kg
* THI(NRC 1971) = (1.8x온도℃+32)-{(0.55-0.0055x습도%)x(1.8x온도℃-26.8)}
□ 파급효과
○ 육계 고온스트레스 상황 발생시 농가의 즉각적 대응으로 피해 최소화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