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영농활용명,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영농활용 글 상세입니다.
영농활용명 |
일반 온도계를 활용한 간편 온습도지수 판별법 |
성과주관부서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낙농과 |
품목코드 |
축산 / 대가축 / 젖소 / 저어지 |
주저자 |
이지환 |
기술유형 |
일반사항 / 일반사항 |
기술활용유형 |
교육·현장연시 |
활용분야 |
축산자원개발 |
기술분야 |
농업현장대응 |
성과년도 |
2020 |
성과적용일 |
2020년11월 |
첨부파일 |
영농활용-020301-축산자원개발-낙농과-이지환-일반 온도계를 활용한 간편 온습도지수 판별법.hwp
다운로드
|
○ 기존 THI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기상청 데이터(온도, 상대습도)를 이용하던가, 우사 내 온습도계 설치를 통하여 온도와 상대습도 데이터를 얻어서 복잡한 공식에 넣어 계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음
○ 기상청 데이터의 경우, 측정소가 농가와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 해발고도 차이가 심하게 날 경우 정확한 THI를 얻을 수 없어 젖소의 스트레스 수준을 정확하게 반영하기에 부적절함
○ 정밀하고 간편하게 온습도지수를 측정하는 방법이 필요함
○ 건·습구 온도계(그림1)의 경우 값싼 가격으로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구입하기 쉬우며, 정확한 건구온도와 습구온도 측정이 가능하며, 측정된 건구온도와 습구온도를 활용하여 손쉽게 상대습도를 얻을 수 있음(그림2)
○ 건구온도와 습구온도를 활용한 상대습도 표를 젖소용 THI값으로 변환하여 농가에 배포 시, 농가에서는 건·습구 온도계만을 이용하여 손쉽게 THI를 확인할 수 있으며 현재 농가에서 사육 중인 젖소의 고온스트레스 수준을 쉽게 파악할 수 있음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