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영농활용명,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영농활용 글 상세입니다.
    영농활용명 저지 우유를 활용한 까망베르 치즈 제조방법
    성과주관부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축산물이용과
    품목코드 축산 / 대가축 / 젖소 / 저어지
    주저자 유자연
    기술유형 수확후관리 / 가공이용 기술활용유형 교육·현장연시
    활용분야 축산생명환경 기술분야
    성과년도 2020 성과적용일 2020년11월
    첨부파일

    영농활용-020301-축산생명환경-축산물이용과-유자연-저지 우유를 활용한 까망베르 치즈 제조방법.hwp     다운로드

    □ 배경 ○ 국내산 저지 우유의 특성을 고려한 숙성치즈의 제조 방안 제시 필요 - 저지종 도입을 희망하거나 이미 도입하여 유제품을 생산하려는 낙농가는 다수이나, 관련 정보 부족으로 실제 생산·판매로 이어진 곳은 없음(`20.11 기준) □ 개발된 영농기술정보 ○ 저지 우유를 활용한 까망베르 치즈 제조 방법 - 원유를 저온살균(65℃, 30분) 후 냉각(32℃)하여 상업용 스타터 유산균 첨가(50분 정치), 렌넷 첨가(50분 정치)하면 응고되어 커드 형성 * 유산균 및 렌넷 첨가 : 원유 100kg 기준 중온성균 1.5g, 렌넷 19ml - 커드를 가로, 세로 0.7cm 크기로 2차에 걸쳐 잘라주고, 5분간 정치 - 20분간 치즈 배트 내 커드와 유청을 저어준 후(교반), 사용된 원유 량의 30% 만큼의 유청을 빼내 준 후 20% 양만큼의 온수(55~60℃)를 서서히 첨가하여 유청의 최종 온도를 34℃까지 맞춰줌 - 까망베르 치즈 전용 성형틀에 담고 실온에서 자연 압착(20시간) * 처음 6시간 동안은 30분 마다 커드를 뒤집어줌 - 포화소금물에 커드를 담가 1시간 염지하고 표면을 건조시켜준 후, 흰 곰팡이균(Penicillium camemberti 또는 Penicillium candidum) 희석액에 커드를 담가 준 후 전용 박스에 겹치치 않게 놓아 숙성처리(3주)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36]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