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영농활용명,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영농활용 글 상세입니다.
    영농활용명 닭고기 소비실태를 반영한 마케팅 정보활용
    성과주관부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기술지원과
    품목코드 농업경영ㆍ정보 / 경영 / 마케팅
    주저자 배형호
    기술유형 경영 / 마케팅 기술활용유형 농업기술길잡이
    활용분야 농업경영정보 기술분야 농업현장대응
    성과년도 2020 성과적용일 2020년10월
    첨부파일

    영농활용-030101-농업경영정보-기술지원과-배형호-닭고기 소비실태를 반영한 마케팅 정보활용.hwp     다운로드

    ○ 닭고기 취식빈도 및 연간소비량 - 조사대상 전체가구의 70.7%가 가정에서, 일반성인의 49.2%가 가족 외 외식으로 주 1회 이상 닭고기 를 취식하고 있으며 2014년 이후 꾸준히 증가 - 연간 닭고기 소비량은 2017년 대비 약1.20kg 증가한 15.77kg이며, 가정 내 소비는 증가한 반면, 가정 외 외식 소비는 소폭 감소함 - 닭고기는 배달 가정 내 조리, 외식, 간편식 순으로 높은 소비 비중을 보임, 코로나19 영향으로 외식 은 크게 감소한 반면, 가정 간편식을 포함한 가정 내 소비 비중이 큰 폭으로 상승함 ○ 닭고기 구입관련 행동 - 닭고기를 주로 구입하는 장소는 대형할인점, 기업형/일반수퍼 등이며, 2017년대비 대형할인점, 백화 점, 전통시장 이용률은 감소, 인터넷 쇼핑몰 이용 증가 ○ 향후 소비전망 - 닭 한 마리 전체 및 부분육 소비 모두 증가 예상(특히 부분육 증가 높음) ○ 닭고기 소비 활성화 방안 - 닭고기 품질 개선을 위해서는 신선도(위생관리)와 유통/판매방식에 대한 변화가 필요함 - 맛과 관련하여 등급판단과 부드러운 육질에 대한 연구와 신선도 측면에서 친환경 인증과 유통기한에 대 한 관리, 소포장 판매 확대 및 포장방식에 대한 개선노력을 요함 - 닭고기에 관한 색다른 요리법이나 간편한 요리가능 제품 개발이 소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36]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