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영농활용명,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영농활용 글 상세입니다.
영농활용명 |
한우 비육개시 체중별 증체 및 사료요구율 정보 활용 |
성과주관부서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연구소 |
품목코드 |
축산 / 대가축 / 한우 |
주저자 |
권응기 |
기술유형 |
재배(사양) / 사양관리 |
기술활용유형 |
농업기술길잡이 |
활용분야 |
축산자원개발 |
기술분야 |
산업실용화기술 |
성과년도 |
2020 |
성과적용일 |
2020년10월 |
첨부파일 |
축산자원개발-축산원-권응기-한우 비육개시 체중별 증체 및 사료요구율 정보 활용-양식1.hwp
다운로드
|
○ 한우 비육개시 체중별(생후 6개월, 고체중, 저체중) 육성·비육기(생후 6~18개월) 체중변화, 사료이용효율 등 성장특성에 대한 자료는 제시된 바 없음
- 비육개시 체중별 완전거세 및 반거세에 따른 증체와 사료요구율 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함
○『농업기술길잡이 6(한우)』의 chapter 7(비육과 고급육 생산기술)/04생산성 향상 비육기술 부분에 추가(p329~) : 한우 비육개시 체중별 증체 및 사료요구율 정보 활용
- 한우 비육개시체중별(고체중, 저체중) 육성·비육기(생후 6~18개월령) 체중은 일당증체량의 차이가 없이 최초 비육개시시 체중의 차이가 유지 되어 포유기와 이유전·후 사양 및 영양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됨
- 사료섭취량은 거세방법에 관계 없이 저체중에 비해 고체중에서 많았고, 사료요구율은 완전거세는 비슷하였지만, 반거세의 경우 저체중에서 사료요구율이 개선됨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