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영농활용명,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영농활용 글 상세입니다.
영농활용명 |
한우 생시 및 송아지의 반추위와 잠재 근내지방 발달 특성 정보 활용 |
성과주관부서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연구소 |
품목코드 |
축산 / 대가축 / 한우 / 한우 |
주저자 |
권응기 |
기술유형 |
일반사항 / 일반사항 |
기술활용유형 |
농업기술길잡이 |
활용분야 |
축산자원개발 |
기술분야 |
산업실용화기술 |
성과년도 |
2020 |
성과적용일 |
2020년10월 |
첨부파일 |
축산자원개발-축산원-권응기-한우 송아지 반추위와 잠재 근내지방 특성(양식1).hwp
다운로드
|
○ 한우 농업기술길잡이에는 송아지 시기의 반추위 발달과 잠재 근내지방 특성(조직적 및 유전적) 변화에 대한 내용이 기술된 바 없음
- 한우 생시 및 생후 6개월령 송아지의 성장에 따른 반추위 발달과 잠재 근내지방 형성 및 유전자 발현에 대한 기초자료를 활용하여 향후 송아지 시기의 영양관리 중요성 제공
○『농업기술길잡이 6(한우)』의 chapter 4(사료영양과 산육생리)/04조직의 성장과 발달 부분 추가(p177~) : 한우 생시 및 송아지의 반추위와 잠재 근내지방 발달 특성 정보 활용
- 송아지의 반추위 중량은 생시에 비해 생후 6개월령에서 현저히 증가 하고, 반추위 융모 길이도 생시의 0.52mm에 비해 6개월령에서 3.43mm으로 약 7배 발달
- 한우 생시 및 생후 6개월령 송아지 등심에서 녹색으로 염색된 지방세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생후 6개월령에서 더욱 많은 지방세포 확인
- 생시에 비해 생후 6개월령 송아지 등심에서 지방세포의 형성(PPARγ, C/EBPβ) 및 지방축적(SCD)과 관련된 유전자의 mRNA 발현량 증가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