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영농활용명,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영농활용 글 상세입니다.
영농활용명 |
발굽피부염 발병축 관리 요령 (ICT장비의 반추시간, 활동량 데이터 활용) |
성과주관부서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낙농과 |
품목코드 |
축산 / 대가축 / 젖소 |
주저자 |
하승민 |
기술유형 |
병해충(질병) / 병해(질병) |
기술활용유형 |
국가농업기술포털 |
활용분야 |
축산자원개발 |
기술분야 |
|
성과년도 |
2021 |
성과적용일 |
2021년11월 |
첨부파일 |
영농활용-030401-축산자원개발-낙농과-하승민-발굽피부염 발병축 관리 요령 (ICT장비의 반추시간, 활동량 데이터 활용).hwpx
다운로드
|
□ 배경
○ 생산성 향상 및 질병관리를 위한 ICT장비가 국내 젖소농가에 보급되고 있음
- 목걸이형 센서, 로봇착유기 등 다양한 ICT장비의 데이터가 수집되고 있으나 질병관찰을 위한 데이터 활용은 아직 미흡함
○ 발굽피부염은 발굽 뒷부분의 피부에 발생하는 염증으로 보행이상을 유발하는 질병임
- 발굽피부염은 피부가 붉은색으로 변하고, 좀 더 진행되면 증식성 형태가 되며 출혈과 심한 통증을 보이며 보행의 어려움이 발생됨
○ 젖소농가의 발굽피부염과 ICT장비의 수집데이터를 분석하여 발굽질병 관리의 정보를 제공하고자함
- 분석 제공데이터 : 일일반추시간, 일일 활동량, 야간/주간 활동 비율
□ 개발된 영농기술정보
○ 목걸이형 센서(SCR HR-LD태그)의 반추시간 데이터와 활동량 정보를 활용한 발굽피부염 발병축 관리요령 제공
- 발굽피부염 발병축은 주간 반추시간과 활동량이 감소되지만, 야간의 활동량 변화는 정상개체와 유사하거나 높아 야간관리시 충분한 사료공급 필요
○ 발굽피부염 발병축은 정상개체에 비해 일일 반추시간이 짧았음, 특히 정상개체와 만성발굽피부염 발병축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임
- 평균 일일 반추시간 : (정상개체) 468.7분/일, (발굽피부염 발병축) 459.9분/일, (만성발굽피부염 발병축) 446.7분/일
○ 발굽피부염 발병축은 정상개축에 비해 일일 활동량이 짧았으나, 야간에는 정상개체와 유사하거나 높음(야간에 자유로운 활동가능)
- 평균 일일 활동량 : (정상개체) 595unit, (발굽피부염 발병축) 546unit, (만성발굽피부염 발병축) 473unit
- 평균 야간/주간 활동비율 : (정상개체) 0.23, (발굽피부염 발병축) 0.24, (만성발굽피부염 발병축) 0.25
- 주간/야간 최대활동량 : (정상개체) 75.6/42.5 (발굽피부염 발병축) 67.1/46.9 (만성발굽피부염 발병축) 58.1/37.8
□ 파급효과
○ 반추시간과 활동량과 발굽피부염과의 상관관계 및 질병관리요령 제공
○ 발굽피부염 발병축이 야간 활동비율이 높은 것은 정상축에 밀려 주간에 활동할 수가 없어 야간에 충분한 사료 공급이 필요함 확인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