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영농활용명,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영농활용 글 상세입니다.
영농활용명 |
북방형 목초 이상기상 취약지역 제시 |
성과주관부서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초지사료과 |
품목코드 |
기후자원 / 농업기상 / 재배적지 |
주저자 |
정종성 |
기술유형 |
환경 / 기상환경 |
기술활용유형 |
교육·현장연시 |
활용분야 |
축산자원개발 |
기술분야 |
|
성과년도 |
2021 |
성과적용일 |
2021년11월 |
첨부파일 |
영농활용-020401-축산자원개발-초지사료과-정종성-북방형 목초 이상기상 취약지역 제시.hwpx
다운로드
|
□ 배경
○ 기상재해로 인하여 목초의 생산성의 미치는 정도를 평가하여 조사료의 안정적인 생산기반 마련 및 수급조절 가능
- 목초는 한번 조성하면 여러 해 이용하기 때문에 기후환경변화에 민감함
* 이상기상에 따른 취약성이 높은 지역 정보 제시로 선제적 대응 가능
* 초지면적 변화(천ha) : (’12) 38 → (‘15) 35 → (’19) 33
□ 개발된 영농기술정보
○ 이상기상에 따른 북방형 목초 취약지점 정보
- 취약성이 높은 지역은 주로 남부지역으로 특히 경북지역에 위치해 있었음
* 북방형 목초는 기후에 대한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가뭄정도(0.657)와 8월 평균 최고기온(0.343) 순이었음
구분
지역
수치
상위지역
제주시, 서귀포시, 태백시, 속초시, 철원군, 고성군(강원), 속초시, 동해시, 강릉시, 양양군, 삼척시 등
0.02이하
하위지역
웅진군, 강화군,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의성군, 대전광역시, 안동시, 영천시 등
0.3~0.5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