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영농활용명,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영농활용 글 상세입니다.
영농활용명 |
사료 내 곰팡이독소(데옥시니발레놀) 오염에 의한 돼지 생산성 및 간 조직 변성 정보 제공 |
성과주관부서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동물영양생리과 |
품목코드 |
축산 / 중가축 / 돼지 |
주저자 |
정진영 |
기술유형 |
일반사항 / 유해물질 |
기술활용유형 |
교육·현장연시 |
활용분야 |
축산생명환경 |
기술분야 |
기초·원천 기술 |
성과년도 |
2021 |
성과적용일 |
2021년11월 |
첨부파일 |
영농활용-030201-축산생명환경-동물영양생리과-정진영-사료 내 곰팡이독소(데옥시니발레놀) 오염에 의한 돼지 생산성 및 간 조직 변성 정보 제공.hwpx
다운로드
|
□ 배경
○ 사료 내 데옥시니발레놀(DON) 오염은 생산, 저장, 운반 및 보관 중에 빈번하게 발생하는 화학적 유해물질임
○ 가축 중에 돼지가 가장 민감하며, 위험도가 높아 사료 섭취 저하 및 체중 감소 등 유발함
○ DON 오염사료를 섭취한 돼지에서 위장염, 면역조절 억제, 신경내분비 장애 등 유발함
○ 돼지 생체조직의 위해도 평가에 대한 척도와 정보 필요함
□ 영농기술·정보 개요
○ 데옥시니발레놀에 오염된 사료를 섭취한 돼지(자돈)의 생산성 및 간조직 변성에 대한 정보 제공
□ 활용방법
○ 사료 내 곰팡이독소(DON) 오염으로 돼지 생산성 및 간 변성 교육 자료 제공
○ 곰팡이독소 저감제 개발 및 효능 평가에 적용하여 독성 및 유해성 판단 기준 제시
- 활용 방법 : 돼지 사료 내 비의도적 유해물질인 곰팡이 독소(데옥시니발레놀)의 오염에 의한 돼지(자돈) 간조직 변화 및 체중 변화에 대한 정보 제공
- 활용 효과 : 사료 내 DON 오염은 간조직의 섬유화 및 세포사멸을 유발하며 생산성을 감소시키는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여 자돈 사양관리의 중요성 제시
* 사료 내 DON(10 ppm) 오염시 대조군에 비해 체중이 13.5% 감소 효과
□ 연구결과
○ 사료 내 데옥시니발레놀 오염 시 돼지(자돈) 간조직에서 농도에 따라 섬유화 발생 증가
○ 사료 내 데옥시니발레놀 오염 시 돼지(자돈) 간조직에서 농도에 따라 세포사멸 증가
○ 사료 내 데옥시니발레놀(DON) 오염 시 돼지(자돈) 생산성 변화
- 사료 내 고농도(10 ppm)의 DON을 처리할 경우 대조군에 비해 체중이 13.5% 감소
□ 기대효과
○ 곰팡이독소 등 유해물질에 대한 생물학적 독성 평가 정보 제공
○ 본 영농정보를 바탕으로 곰팡이독소 저감을 위한 각종 저감소재 개발 및 효능 평가를 위한 독성 및 유해성 판단 기준 제시
○ 사료 안전성 향상 연구에 활용하여 돼지 생산성 향상에 기여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