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영농활용명,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영농활용 글 상세입니다.
영농활용명 |
육계사 계절별 위치별 미세먼지, 암모니아 노출수준 |
성과주관부서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축산환경과 |
품목코드 |
환경생태 / 환경영향평가 / 대기환경 |
주저자 |
권경석 |
기술유형 |
환경 / 시설환경 |
기술활용유형 |
교육·현장연시 |
활용분야 |
축산생명환경 |
기술분야 |
농업현장대응 |
성과년도 |
2021 |
성과적용일 |
2021년11월 |
첨부파일 |
영농활용-020201-축산생명환경-축산환경과-권경석-육계사 계절별 위치별 미세먼지, 암모니아 노출수준 .hwpx
다운로드
|
계절에 따른 육계 사육시설 내부의 입경별 미세먼지, 암모니아 노출 수준에 대한 기초 자료 제공
- 터널, 크로스 환기 방식 모두 배기구 인근에서 계사 내부 대비 약 1.24배 높은 수준의 먼지 농도가 관측(TSP 1.23배, PM10 1.22배, PM2.5 1.27배)
- 유럽에서 제시된 분진허용노출기준과 비교할 때, 흡입성 분진은 계절에 관계없이 기준치 이하의 값이 관측되었으나, 호흡성 분진은 겨울철에 1.83배, 봄·가을에 2.31배, 여름철에 1.17배 기준치를 초과
- 근로자 내부 출입 시 닭이 흥분 상태가 될 경우, 흡입성 분진은 겨울철 1.26배, 봄·가을 1.66배, 여름철 1.04배 기준치를 초과하며, 호흡성 분진은 각각 2.54, 2.82, 1.66배 초과함
- 암모니아는 겨울, 봄, 가을에는 평균 농도 기준 지점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여름철 배기구에서 중앙부 대비 1.28배 높게 나타남
- 봄, 여름, 가을철의 경우 TWA(25 ppm), STEP(35 ppm)을 초과하지 않았으나, 겨울철 2, 3, 4주령 모두 기준치를 초과함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