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영농활용명,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영농활용 글 상세입니다.
영농활용명 |
젖소 성장단계별 장내발효 메탄 발생량 정보 제공 |
성과주관부서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동물영양생리과 |
품목코드 |
축산 / 대가축 / 한우 |
주저자 |
이유경 |
기술유형 |
재배(사양) / 사양관리 |
기술활용유형 |
농업기술길잡이 |
활용분야 |
축산생명환경 |
기술분야 |
|
성과년도 |
2021 |
성과적용일 |
2021년11월 |
첨부파일 |
영농_축산생명환경_축산원_이유경_젖소 성장단계별 장내발효 메탄 발생량 정보 제공.hwpx
다운로드
|
□ 배경
○「저탄소 녹생성장기본법, 동법 시행령 제 36조」에 따라 IPCC 기본 배출계수를 활용하여 축산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고 있으나, 이는 국가의 특성을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음.
○ 국가 감축목표 달성 및 우리나라 축산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정보 공유를 위하여 개발된 젖소 장내발효 메탄 배출량을 제공하고자 함
□ 개발된 영농기술정보
○ 젖소 장내발효 메탄(CH4) 배출량
- 젖소(암컷) 1세미만 장내발효 CH4 배출량: 33 kg/head/yr
- 젖소(암컷) 1세∼2세 장내발효 CH4 배출량: 83 kg/head/yr
- 젖소(암컷) 2세이상 장내발효 CH4 배출량: 139 kg/head/yr
□ 파급효과
○ 국내 가축 사육환경을 반영한 장내발효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 저탄소 농축산물 인증제, 탄소배출권 거래제 등 축산부문 온실가스 관련 정책수립을 위한 의사결정에 활용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