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영농활용명,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영농활용 글 상세입니다.
영농활용명 |
카르니틴, 비타민B, 비타민E, 셀레늄, 글리세린을 이용한 젖소 케토시스 치료방법 제공 |
성과주관부서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낙농과 |
품목코드 |
축산 / 대가축 / 젖소 |
주저자 |
하승민 |
기술유형 |
병해충(질병) / 병해(질병) |
기술활용유형 |
신기술보급사업 |
활용분야 |
축산자원개발 |
기술분야 |
|
성과년도 |
2021 |
성과적용일 |
2021년11월 |
첨부파일 |
영농활용-030401-축산자원개발-낙농과-하승민-카르니틴, 비타민B, 비타민E, 셀레늄, 글리세린을 이용한 젖소 케토시스 치료방법 제공.hwpx
다운로드
|
□ 배경
○ 케토시스는 영양대사성 질병으로 젖소농가를 비롯한 소를 키우는 농가에 경제적으로 피해를 주는 질병임
- 케토시스에 발병된 소는 식욕감퇴, 체중감소, 유량감소, 신경증상 등을 보이며 다른 질병에 대한 위험도 또한 증가시킴
- 모든 국가에서 높은 농장 발생률을 보임(준임상형 포함시 국내 100%, 북미 80%)
- 피해액은 마리당 약 90만원으로 조사됨(준임상형의 경우는 20만원)
○ 케토시스 발병우의 치료를 위해 다양한 방법이 적용되어 왔지만 아직까지 효율적인 치료방법이 개발되지 않아 새로운 방법이 요구되고 있음
- 기존치료법(프로필렌글리콜 등 영양 첨가제 급여) : 단순 증상완화, 케톤체 잔존으로 높은 재발빈도 발생
□ 개발된 영농기술정보
○ 기존 영양 첨가제 급여법에서 원인체 제거를 포함한 치료법 제공
- 케톤체 제거, 간기능 개선 등을 통해 증상완화 보다는 케토시스 원인체 제거 및 대사기능 회복 등 치료에 중점을 둔 치료제 개발
- 임상형 케토시스(유량 10% 이상 감소, BHBA ≥ 3.0 mmol/L) 발현 젖소에 4일간 치료물질 처치
- 카르니틴, 비타민B, 비타민E, 셀레늄, 글리세린 복합투여
․ 케톤체(BHBA) 감소 : 4.23 → 0.9 mmol/L
․ 혈당 증가 : 39.83 → 59 mg/dL
․ 유량 증가 : 25.3 → 36.2 L/day
․ 비에스테르지방산(NEFA) 감소 : 0.96 → 0.49 mEq/L
□ 파급효과
○ 케토시스 원인체 제거 및 치료율 개선의 신규 치료방법 제공
○ 젖소의 대사능력 개선, 유량 정상화로 농가 소득 증대 기여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