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영농활용명,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영농활용 글 상세입니다.
영농활용명 |
케토시스 의심축 선별 요령 (ICT장비의 반추시간, 유량 데이터 활용) |
성과주관부서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낙농과 |
품목코드 |
축산 / 대가축 / 젖소 |
주저자 |
하승민 |
기술유형 |
병해충(질병) / 병해(질병) |
기술활용유형 |
현장실증연구 |
활용분야 |
축산자원개발 |
기술분야 |
|
성과년도 |
2021 |
성과적용일 |
2021년11월 |
첨부파일 |
영농활용-030401-축산자원개발-낙농과-하승민-케토시스 의심축 선별 요령 (ICT장비의 반추시간, 유량 데이터 활용).hwpx
다운로드
|
□ 배경
○ 케토시스는 영양대사성 질병으로 젖소농가를 비롯한 소를 키우는 농가에 경제적으로 피해를 주는 질병으로 많은 농가에서 발생
- 케토시스 주요 증상은 식욕감퇴와 유량감소
○ 생산성 향상 및 질병관리를 위한 ICT장비가 국내 젖소농가에 보급되고 있음
- 목걸이형 센서, 로봇착유기 등 다양한 ICT장비의 데이터가 수집되고 있으나 질병관찰을 위한 데이터 활용은 아직 미흡함
○ 젖소농가의 생산성 저하 대표질병인 케토시스와 ICT장비의 수집데이터를 분석하여 케토시스 의심축 확인 요령을 제공하고자함
- 분석 제공데이터 : 일일반추시간, 일일유량
□ 개발된 영농기술정보
○ 목걸이형 센서(SCR HR-LD태그)의 반추시간 데이터와 유량정보를 활용한 케토시스 의심축 선별 요령 제공
- 케토시스 의심축 선별방법 : 일일 반추시간 20분 이상 적고, 전일대비 일일 유량 생산 16%감소한 개체
○ 케토시스 발병개체는 정상개체에 비해 발생 3일전부터 발생일까지 일일 반추시간이 22.5~34.4분 더 짧았음 (p<0.05)
- 평균 일일 반추시간 : (정상개체) 461.2~468.6분/일, (케토시스개체) 438.7~445.2분/일
- 발생 2일전과 발생일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임
○ 케토시스에 발병된 개체는 발병 3일전부터 발병일까지 유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
- 평균 일일 유량 변화율 최솟값 (p<0.01, 평균±표준오차)
․ 정상개체 감소율: 6.80±1.01%, 케토시스개체 감소율: 16.37±2.15%
□ 파급효과
○ 케토시스 발병 위험개체 조기 선별을 위한 ICT 수집데이터 활용기회 제공
○ 케토시스 발병 전 위험개체 조기 선별 후 예방조치 시행 가능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