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영농활용명,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영농활용 글 상세입니다.
영농활용명 한우 26개월령 단기비육시 거세방법에 따른 생산성 및 경제성 비교
성과주관부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연구소
품목코드 축산 / 대가축 / 한우
주저자 장선식
기술유형 재배(사양) / 사양관리 기술활용유형 농업기술길잡이
활용분야 축산자원개발 기술분야 농업현장대응
성과년도 2021 성과적용일 2021년11월
첨부파일

영농활용-020201-축산자원개발-한우연구소-장선식-한우 26개월령 단기비육시 거세방법에 따른 생산성 및 경제성 비교.hwpx     다운로드

○ 한우 완전거세 및 불완전거세(반거세)의 개시체중은 149.48 및 147.2kg으로 비슷하였으며, 종료체중(생후 26개월령)은 불완전거세가 749.6kg으로 완전거세의 729.2kg에 비해 약 20kg이상 증가하였다. 일당증체량은 불완전거세 0,96kg, 완전거세 0.89kg으로 불완전거세에서 소폭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사료섭취량은 불완전거세가 완전거세에 비해 많았으며, 특히 배합사료 섭취량에서 차이가 나타났고, 사료요구율은 완전거세 10.04, 불완전거세 9,98로 처리간 차이는 적었다(표 7-36). ○ 완전거세의 혈중 웅성호르몬 농도는 거세후 0.77ng/mL 이하로 급격히 감소되었지만, 불완전거세는 거세 후에도 생후 10개월령까지 15.01ng/mL로 지속적으로 증가된 후 7.51~14.17ng/mL 범위를 보였다(그림 7-12). ○ 도체특성에서 도체중은 완전거세가 435.5kg, 불완전거세가 441.5kg으로 불완전거세에서 소폭 증가되었으며, 등심단면적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등지방두께는 불완전거세가 7.88mm으로 완전거세의 14.00mm에 비해 얇게 나타났으며, 육량지수는 완전거세 및 불완전거세 각각 62.46 및 66.77으로 불완전거세에서 높게 나타났다. 근내지방도는 완전거세가 5.50으로 불완전거세의 1.75에 비해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육색 및 조직감은 완전거세 보다 불완전거세에서 증가되었다. 근내지방도의 영향으로 경락단가는 완전거세가 20,609원/kg, 불완전거세가 14,609원/kg으로 완전거세에서 6,000원/kg 높았다(표 7-37). ○ 총수입(도체판매 가격)은 완전거세가 8,892,042원, 불완전거세가 6,449,295원으로 완전거세에서 2,442,747원 많았으며, 총 사료비는 완전거세 2,349,129원, 불완전거세 2,378,578원으로 처리간 비슷한 수준이었다. 순수익은 완전거세 및 불완전거세 각각 2,612,912원 및 140,717원으로 불완전거세 보다 완전거세에서 2,472,195원 많았다(표 7-38). ○ 한우 단기비육(생후 26개월 출하)은 30개월 출하에 비해 도체중 및 육질등급이 감소될 수 있지만 사료비 절감, C 등급 출현율 감소, 사육회전율 향상 및 온실가스 저감 효과를 고려한다면 충분히 활용가능하다. 거세방법의 경우 불완전거세는 한 쪽 고환에서 분비되는 웅성호르몬의 영향으로 증체 및 한우고기 생산량이 증가될 수 있지만 육질이 현저히 저하되기 때문에 고급육 생산을 통한 수익 증대를 위해서는 양 쪽 고환을 모두 제거하는 완전거세가 필수적이다.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36]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