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영농활용명,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영농활용 글 상세입니다.
    영농활용명 수수(알곡) 품종별 사료가치 및 한우 소화특성 결과 활용
    성과주관부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동물영양생리과
    품목코드 축산 / 대가축 / 한우
    주저자 이성신
    기술유형 재배(사양) / 사양관리 기술활용유형 농업기술길잡이
    활용분야 축산생명환경 기술분야
    성과년도 성과적용일 2022년12월
    첨부파일

    영농_교육현장연시_ 국립축산과학원_이성신_수수(알곡) 품종별 사료가치 및 한우 소화특성 결과 활용.hwp     다운로드

    □ 연구결과 ○ 수수(알곡) 품종별 일반성분 분석 - 수수(알곡) 품종별 일반성분 비교 분석결과는 표 1과 같음. * 수수 6종의 조단백질 함량 16.5-12.5%, 조지방 함량 4.79-3.80%, 비섬유 탄수화물 함량 70.9-62.3%로 확인됨. ○ 수수(알곡) 품종별 소화율 및 소화특성 결과 - 수수(알곡) 품종별 소화율 및 소화특성 결과는 표 2와 같음 * 건물소화율은 수수(알곡) 6종 중, 품종과 유의적 차이 없음. * 단백질 합성원으로 알려진 암모니아태 질소는 바르메에서 35.5mg/dL로 가장 높으나 노을찰(30.4mg/dL)을 제외한 품종에서 유의적 차이 없음. * 대사에너지원으로 이용되는 총 휘발성지방산은 더하메 품종에서 94.3mM로 가장 높으나 노을찰(90.3mM)을 제외한 품종에서 유의적 차이 없음.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제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36]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