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활용
축산분야 정책제안과 관련된 자료들을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영농활용명,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주저자, 기술유형, 기술활용유형, 활용분야, 기술분야,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영농활용 글 상세입니다.
영농활용명 |
행동풍부화 물질을 활용한 육계의 스트레스 저감 활용방안 |
성과주관부서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동물복지연구팀 |
품목코드 |
동물 유전자원 / 가축 유전자원 / 가금류 |
주저자 |
김찬호 |
기술유형 |
재배(사양) / 사양관리 |
기술활용유형 |
교육·현장연시 |
활용분야 |
축산생명환경 |
기술분야 |
농업현장대응 |
성과년도 |
|
성과적용일 |
2023년12월 |
첨부파일 |
ATIS 영농정보_행동풍부화 물질_육계.hwp
다운로드
|
○ 행동풍부화 물질의 이용빈도는 주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함
* (7일령) 89% → (14일령) 65% → (21일령) 57% → (27일령) 27%
○ 행동풍부화 물질 제공시 쪼는 행위 비율이 4.6%p 감소함
* (행동풍부화 물질 제공 vs. 미제공) : 쪼는 행위(13.2% vs. 17.8%)
○ 스트레스 호르몬 함량 행동풍부화 물질 제공시 19일령 6.8% 및 27일령 2.0% 감소함
* (행동풍부화 물질 제공 vs. 미제공) : 19일령(1.75 ng/mL vs. 1.65); 27일령(1.79ng/mL vs. 1.78)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 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