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글 상세입니다.
    논문명(한글) 한우의 개체별 사료 자동급이기 사용이 도체품질에 미치는 영향
    논문명(영문) Effect of use of automatic individual feeder on carcass quality in Hanwoo
    성과주관부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축산환경과
    품목코드 축산 / 대가축 / 한우
    학술지명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주저자 양가영
    성과년도 2019 성과적용일 2021년12월
    한우 스마트팜에 적용되는 대표적인 장치인 개체별 사료 자동급이기는 개체별로 적정 사료량을 급이 할 수 있어 정밀한 사양관리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개체별 사료급이가 생산성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 결과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체별 자동급이기 사용농가와 관행 사료급이 농가의 도체 성적 및 품질을 분석하여 농가들 사이의 품질의 균일성을 비교하였다. 한우농가에서 자동 사료급이기를 활용한 농가와 관행적 사료급이를 하는 농가를 섭외하여 도체 성적 및 품질의 5가지 항목인, 도체중(carcass weight, kg), 등지방두께(backfat thickness, mm), 배최장근단면적(loineye muscle area, cm2), 근내지방도(marbling score, 점수), 육량지수(meat yield index, 점수)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도체중과 등지방 두께는 자동사료급이기를 사용한 농가가 관행급이 농가보다 분산이 작게 나타났다(p<0.05). 반면, 배최장근면적, 근내지방도 등급, 육량 등급에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p>0.05). 이 결과, 농가의 수익과 연관되는 도체중과 등지방두께에서 개체별 자동 급이기의 설치가 한우 개체들 사이의 균일성을 이루는 것으로 판단되나 비교 농가 사이의 품질평가 항목의 성적결과 측면에서는 개체별 자동급이기의 영향뿐만 아니라, 유전적, 환경적, 사료성분 및 사양관리 등 다양한 요인들의 영향도 고려하여 추후 추가적인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27]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