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글 상세입니다.
논문명(한글) |
항생제 선별 없이 alpha 1,3-Galactosyltransferase 유전자 넉아웃 기반 Membrane Cofactor Protein과 Thrombomodulin 유전자를 동시에 발현하는 세포라인 확립 |
논문명(영문) |
Generation of alpha 1,3-Galactosyltransferase Knockout Pig Cell Expressing Membrane Cofactor Protein and Thrombomodulin without Application of Antibiotics for Selection |
성과주관부서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동물바이오공학과 |
품목코드 |
축산 / 중가축 / 돼지 |
학술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주저자 |
이해선 |
성과년도 |
2021 |
성과적용일 |
2021년12월 |
돼지와 영장류의 면역 차이로 이종이식 돼지 장기에서 보체 활성화, 염증반응 그리고 혈액 응고 등의 거부반응이 발생하며 수여 영장류를 사망에 이르게 한다. 인위적으로 Membrane cofactor protein(MCP) 및 Thrombomodulin(TBM)을 발현시키는 것은 이러한 거부반응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고 영장류 생존기간을 연장한다고 보고되었으며 이전 연구에서 코돈 최적화 MCP(mMCP) 와 TBM cDNA를 활용한 발현 벡터를 구축한 바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항생제 저항성 유전자를 이용하지 않고 형질전환 세포 선별 시스템을 확립하며 alpha-1,3-Galactosyltransferase knock-out(GTKO)/mMCP/TBM 세포 라인을 개발하는 것이다. Nucleofection을 통해 mMCP/TBM 동시 발현 벡터를 도입한 GTKO 세포를 MCP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MCP를 발현하는 세포만을 두 차례 분리하였다. 이를 통해 분리한 세포는 단일세포가 되도록 배양하였으며 유세포분석을 통한 MCP 발현 수준에 따라 단일 클론의 세포라인을 분류하여 선별하였다. 최종적으로 MCP 단백질 발현이 90% 이상인 GTKO/mMCP/TBM 유전자형 세포 라인 4종을 개발하였다. 선별된 클론들은 GTKO/mMCP/TBM 돼지 생산을 위한 핵이식 공여세포로 활용할 예정이다. 항생제 저항성 유전자를 사용하지 않는 선별 기술은 향후 의료용 원료 동물 생산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