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글 상세입니다.
논문명(한글) |
스마트팜 ICT 장치의 복합 데이터를 활용한 젖소 음수량 추정 |
논문명(영문) |
|
성과주관부서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축산환경과 |
품목코드 |
축산 / 대가축 / 젖소 |
학술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주저자 |
장동화 |
성과년도 |
|
성과적용일 |
2021년12월 |
물은 젖소의 사료 섭취량 및 산유량을 증가시키고, 소화와 영양소 흡수를 촉진시킨다. 그러나 일반농가에서는
유량센서를 이용한 농가 단위의 음수관리만 가능하며, 개체별 음수관리는 어려운 실정이다. 음수량 실측을 위하여 개체
별로 별도의 측정 장치의 제작이 가능하나 경제성 등의 이유로 농가 적용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측이 어려운 젖소의 개체별 음수량을 추정하기 위해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팜 ICT 장치의 복합 데이터를
활용한 음수량 추정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 모델은 ICT 장치로 수집 가능한 산유량, 일 최저 기온의 7일 평균, 유지방,
착유주차, 체중을 통해 음수량을 추정한다. 선행 연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개발 모델의 음수량 추정치와 실측치를 비교분
석한 결과 평균오차는 약 3.3 kg/d(3.7%)로 나타났다. 또한, 개발 모델을 활용하여 ICT 장치가 설치된 농가의 산유량과
기온에 따른 음수량 변화를 평가하였다. 전체 개체에 대한 산유량과 음수량을 분석한 결과 산유량 kg 당 음수량은 2.97
kg으로 나타났다. 기온에 대한 음수량 분석을 위해 계절별로 데이터를 나누었으며, 전체 데이터에 대한 기온과 음수량은
양의 상관관계를 가졌다. 산유량과 기온에 따른 음수량의 변화는 선행 연구의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일반적으로 국내 낙농 스마트팜에 설치되어있는 ICT 장치 정보를 통한 음수량 추정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