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글 상세입니다.
    논문명(한글) 한우 암소에서 인공수정 후 임신과 비임신에 따른 혈액내 NEFA 수준 비교
    논문명(영문) Comparison of NEFA Level of Pregnancy,Non-Pregnancy in Hanwoo Cow
    성과주관부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연구소
    품목코드 축산 / 대가축 / 한우 / 한우
    학술지명 농업생명과학연구 주저자 김의형
    성과년도 2021 성과적용일 2021년12월
    현재 한우에서는 영양대사물질 수준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수준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우 번식우에 있어서 임신과 비임신 상태에 있어서 혈액내 주요 영양대사물질을 분석하였다. 한우 번식우 54두를 방목을 하였을 경우에는 혈액내 주요대사물질 6개 항목(AST, ALT, Cholesterol, Glucose, BUN, NEFA)을 분석하였다. 사육방법과 관련된 NEFA수준 조사에서 방목우 임신우 평균은 221±105 uEq/L이고, 사사 사육 임신우 평균 240±121 uEq/L로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콜레스테롤 수준은 사사 사육시 임신우 113.33±17.03 mg/dL이었고, 비임신우는 137.25±21.77 mg/dL로 비임신우에서 유의적으로(p<0.05) 높은 결과를 보였다. 사사 사육시 NEFA 수준(임신우 204±119 uEq/L과 비임신우 286±215 uEq/L)도 콜레스테롤 수준과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분만 전ㆍ후 AST 수치는 각각 105.53±24 IU/L와 81.59±12.55 IU/L으로 분석되어 분만 후에서 유의적으로(p<0.05) 감소한 결과를 보였다. NEFA 수준에서는 분만 전 122±52 uEq/L, 분만 후 497±239 uEq/L 로서 분만 후에서 유의적으로(p<0.05)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NEFA 수준의 증가는 분만 후 번식우가 필요로 하는 영양대사물질이 증가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한우 번식우의 적정한 영양수준 관리는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한우 번식우에 대한 영양수준 연구는 추가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27]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