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글 상세입니다.
    논문명(한글) 피코나바이러스와 숙주세포 내 유입 수용체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구조 및 기능적 이해
    논문명(영문) Structural and Functional Insights into the Interaction of Picornavirus and Its Entry Receptor into Host Cells
    성과주관부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동물유전체과
    품목코드 축산 / 중가축 / 돼지
    학술지명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주저자 채한화
    성과년도 2021 성과적용일 2022년07월
    피코르나바이러스는 감염에 대한 치료를 위해 사용 가능한 항바이러스제가 없는 다양한 병원체를 포함하고 있는 매우 큰 바이러스과이다. 피코르나바이러스는 인간과 척추동물에서 질병을 유발하는 작고 외피가 없는 양성 단일가락의 RNA 바이러스이다. 그래서 우리는 피코르나바이러스의 캡시드 단백질을 숙주세포 내 유입 수용체를 방해할 수 있는 저해제를 개발하는 데 적합한 표적으로 리뷰하였다. 또한, 피코르나바이러스의 탈외피과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숙주인자들도 피코르나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하기 위한 좋은 표적이다. 이 리뷰에서 피코르나바이러스-숙주 수용체(이입, 부착, 그리고 유인 수용체)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는 바이러스의 침입을 차단하기 위한 새로운 저해제의 개발 전략에 개선된 이해를 제공할 것이다. 연구자들은 백신을 개선하기 위해 캡시드 공학기술로 바이러스의 구조 안정성을 조절하는 것과 수용체 모방체를 이용하여 바이러스를 중화하는 데에 항바이러스제제 조합을 고려해야한다. 추가적으로, 다른 작용 기전과 저항 프로파일을 가진 바이러스 억제제의 조합은 기존의 항바이러스제제의 물리적 성질을 변형함으로써 항바이러스 시너지효과를 생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펩타이드 기반 항바이러스 전략은 항바이러스 잠재성 개선과 저해제의 저항 장벽을 높이기 위해 작은 항바이러스 분자의 대안 또는 보조물질로 탐색하는 것이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27]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