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글 상세입니다.
논문명(한글) |
젖소 발정탐지 고도화를 위한 활동량, 반추시간 생체정보 모니터링 |
논문명(영문) |
Monitoring of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Activity and Rumination Time for Advancement of Estrus Detection in Dairy Cows |
성과주관부서 |
국립축산과학원 낙농과 |
품목코드 |
축산 / 대가축 / 젖소 / 저어지 |
학술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주저자 |
전은정 |
성과년도 |
2022 |
성과적용일 |
2022년09월 |
최근 IoT (Internet-of-Things)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생체정보 측정 기기들이 개발되어 축산 현장에서 발정발현 확인용으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발정발현의 정확도가 기기마다 차이가 있고, 가축에서의 표현형과의 차이 등으로 인해 실제 번식효율 개선 등의 효과는 제한적인 실정이다. 본 연구는 생체정보 장치 유래 데이터를 기반으로 젖소의 발정주기 진행에 따른 활동량(Activity, AT)과 반추시간(Rumination time, RT)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젖소의 AT와 RT는 목걸이형 센서를 활용하여 개체별로 발정 전후 3일 동안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발정 전 3일(d -3)과 발정 후 3일(d +3)의 평균값을 기준일(Reference period, RP)로 정의하였다. 생체정보 데이터는 젖소 총 62두 (홀스타인종 57두, 저지종 5두)로부터 1일 2시간 간격으로 수집되었으며, 최종적으로 7,500개의 데이터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 AT와 RT는 젖소의 품종에 관계없이 발정주기에 유의적인 영향을 받았으며, 발정일 전후 2일 동안 서로 대비되는 특징을 보였다. AT는 다른 날에 비해 발정일 당일에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나(p<0.0001), RT의 경우 다른 날에 비해 발정일 당일에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01). RT는 발정일 전 2일부터 발정일까지 감소하다가 발정일 이후에 다시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AT 및 RT와 같은 요인들을 복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젖소 발정 조기탐지에 대한 더 나은 정확도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