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글 상세입니다.
    논문명(한글) 사료의 발효가 영양 성분 및 반추위 in vitro 발효에 미치는 영향
    논문명(영문) Effect of Feed Fermentation on the Nutrient Composition and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성과주관부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동물영양생리과
    품목코드 축산 / 대가축 / 한우
    학술지명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주저자 이슬
    성과년도 2022 성과적용일 2022년12월
    발효사료는 인공적인 제조 과정을 통해 미생물 발효한 사료를 의미하며 영양소, 소화율, 기호성, 안전성 측면에서 우수하다. 발효사료의 효능은 제조 조건 및 급이 환경에 따라 변이가 있어, 본 연구에서는 사료의 발효에 따라 영양 성분의 변화와 반추위 이용성을 평가하여 발효사료의 우수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시험은 발효에 따른 영양 성분 변화와 반추위 발효 성상 변화를 분석하였고, 2 (발효 유무) × 2 (조사료 첨가 유무)의 요인설계를 실시하였다. 동결 건조된 박테리아 혼합물(Bacillus subtilis, Enterococcus faecium, Saccharomyces cerevisiae)과 한우용 배합사료를 이용하여 발효사료를 제조하였고, 반추위 in vitro 배양 시험을 통해 39 °C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화학 성분 분석 결과, 발효사료의 crude protein (CP)은 2.6%p 증가하고, non-fiber carbohydrate (NFC)는 5.1%p 감소하였다. In vitro 배양 결과 조사료 첨가 여부에 관계없이 발효사료 처리구의 건물 소화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 < 0.01), 총 volatile fatty acids (VFA)와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 < 0.01) 소화된 건물 당 메탄 발생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 = 0.07). 따라서 발효사료를 한우에 급여할 시 CP가 증진되어 영양적인 측면에서 우수하고, 반추위 분해율이 증가하여 가축의 영양소 이용성을 높일 것으로 판단된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27]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