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글 상세입니다.
논문명(한글) |
정제 마유와 말 사골 저분자 효소분해물 첨가 크림의 품질과 열 안정성 |
논문명(영문) |
|
성과주관부서 |
국립축산과학원 가금연구소 |
품목코드 |
축산 / 대가축 / 말 |
학술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주저자 |
김희진 |
성과년도 |
2022 |
성과적용일 |
2022년12월 |
본 연구에서는 마유 및 효소분해물이 첨가된 크림의 품질과 열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정제 마유는 각각 말의 복부와 목 부위의 지방을 사용하였으며, 말사골 효소 분해물은 판크레아틴으로 효소 분해하여 3 kDa 이하의 저분자를 사용하였다. 정제마유의 항산화(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조사하였으며, 정제된 마유 및 말사골 효소분해물을 함유한 화장품 크림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복부 및 목지방의 정제 마유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81.92와 52.20%를 나타내었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46.55와 36.78%를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은 복부 및 목지방 정제 마유에서 각각 59.42, 37.60%를 나타내었다. 정제마유와 말사골 효소분해물이 함유된 크림의 pH, 점도, 색도, 상분리안정성, 호기성 세균, 진균, 관능평가를 온도 조건(4, 25, 40°C)을 다르게 하여 60일 동안 크림의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25°C와 40°C에서 보관하였을 때 모든 처리구의 pH는 1일보다 60일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호기성 세균 및 진균의 모든 저장 일차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며, 관능평가에서도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정제마유와 말사골 효소분해물을 함유한 크림의 60일 저장기간 동안의 크림 안정성을 확인하였으나, 고온에서 장기 보관시 pH의 대한 안정성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