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글 상세입니다.
논문명(한글) |
후보돈 사육기 사료 내 에너지 수준이 번식성적에 미치는 영향 |
논문명(영문) |
|
성과주관부서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양돈과 |
품목코드 |
축산 / 중가축 / 돼지 |
학술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주저자 |
최요한 |
성과년도 |
2022 |
성과적용일 |
2023년02월 |
본 연구는 후보돈 육성기 사료 내 에너지 수준이 후보돈 사양성적과 첫 번째 산차의 번식성적에 미치는 영
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총 60두의 2원교잡종(Landrace×Yorkshire, 평균체중 94.89±5.63 kg) 후보돈을
완전 임의 배치 설계에 따라 체중을 기준으로 두 가지 시험구 중 하나로 배치하였다. 시험설계는 저에너지 사료
(Metabolizable energy, ME 3,120 Kcal/kg) 급여구와 고에너지 사료(ME 3,320 Kcal/kg) 급여구로 하였다. 일
당증체량, 초종부 일령, 체중 및 등지방두께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고에너지사료 급여구의 후보돈 증체량이
높은 경향이 관찰되었다(p=0.073). 포유기 재귀발정일, 사료섭취량, 모돈 체중, 등지방두께 및 이들의 변화에서 유
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p<0.05), 분만 시 등지방두께(p=0.089), 이유 시 등지방 손실량(p=0.053) 및 포유기 사료
섭취량(p=0.073)에서 사료 내 에너지 수준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었다. 번식성적과 모유성상에서도 유
의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후보돈 사료 내 에너지 수준은 초종부 사양성적, 번식성적 및 모유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