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글 상세입니다.
논문명(한글) |
저항전분 함량이 높은 옥수수의 급여가 비글의 장내 미생물 환경 및 기능 변화에 미치는 영향 |
논문명(영문) |
Effects of feeding corn with high resistant starch on gut-microbiotacomposition and functional alteration in beagles |
성과주관부서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동물복지연구팀 |
품목코드 |
축산 / 특수가축 / 개 |
학술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주저자 |
조현우,서강민 |
성과년도 |
2018 |
성과적용일 |
2023년06월 |
저항성 전분은 소화효소에 의해 소화되지 않고 장내 미생물에 의해 발효되어 단쇄지방산과 같은 대사산물로 전환되어 다양한 기작을 통해 생체에 유익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저항전분 함량이 높은 옥수수를 함유하는 사료의 급여가 반려견의 장내 미생물 생태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조구는 저항전분 함량이 낮은 쌀을 기반으로 한 사료급여구로 설계하였으며, 처리구는 가열-냉각 방법으로 저항전분의 함량을 증진시킨 옥수수를 기반으로 한 사료급여구로 설계하여 각각의 사료를 16주간 급여 했다. 장내 미생물의 다양성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alpha diversity 및 beta diversity를 분석한 결과, 대조구와 처리구간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리고 비만 환경에서 풍부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진 장내 미생물 중, genus 수준의 Erysipelatoclostridium이 대조구와 비교했을 때 처리구에서 order 수준부터 계통적으로 감소했다. 장내 미생물의 풍부도가 변화된 환경이 기능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KEGG (Kyoto encyclopedia of genes and genomes) pathway database를 활용하여 PICRUSt2로 분석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sulfur metabolism (p < 0.001)과 insulin signalling pathway (p < 0.01)의 증가 및 carbohydrate metabolism인 pentose phosphate pathway와 pentose and glucuronate interconversions가 감소했다(p < 0.01). 상기의 결과를 토대로 종합해보면, 비글견에서 저항전분 섭취수준의 증가는 장내 미생물 환경에서 당 대사와 지질 대사에 유익한 역할을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