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글 상세입니다.
논문명(한글) |
수분 및 미생물 첨가제가 알팔파 사일리지의 발효특성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
논문명(영문) |
수분 및 미생물 첨가제가 알팔파 사일리지의 발효특성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
성과주관부서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초지사료과 |
품목코드 |
축산 / 조사료 / 목초류 / 알팔파 |
학술지명 |
농업생명과학연구 |
주저자 |
정승민 |
성과년도 |
2021 |
성과적용일 |
2023년10월 |
본 연구는 수분함량과 미생물 첨가제가 알팔파 사일리지의 발효특성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알팔파는 개화 10%시기에서 수확되었으며 수분 함량(M60, M50, M40 및 M30)이 60, 50, 40 및 30%일 때 각각 이용하였다. 1500g을 샘플링한 후, 증류수 10mL을 첨가한 미첨가구(NAD)와 Lactococcus lactis 와 Pediococcus pentosaceus의 혼합물을 증류수(0.1g/10mL)에 1.5 x 1010cfu/g 농도로 희석한 후 접종한 미생물 균주 첨가구(ADD)를 3개월 및 6개월 발효하였다. 수분 및 미생물 첨가제에 따른 연평균 알팔파의 조단백, 중성세제 불용성 섬유 및 산성세제 불용성 섬유에서 차이가 없었다(p>0.05). 모든 발효기간에서 pH는 ADD의 M40에서 가장 낮았다(p<0.05). NAD 처리구에서는 젖산이 M50에서 가장 높았고(p<0.05), ADD 처리군에서는 M40 시험구에서 젖산이 가장 높았다(p<0.05). NAD와 ADD의 M60은 젖산 함량이 다른 수분함량들에 비해 가장 낮으며(p<0.05) 낙산이 유일하게 검출되었다. 미생물군집의 상대적 풍부도는 ADD 처리구의 M40과 M50에서 Homo LAB(Enterococcus, Lactiplantibacillus, Lacticaseibacillus, Lactococcus, Pediococcus)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Clostridium은 M60에서 가장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