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글 상세입니다.
    논문명(한글) 자돈 일당증체량에 따른 장내 미생물 변화 연구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동물유전체과
    품목코드 축산 / 중가축 / 돼지
    학술지명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주저자 임진아
    성과년도 2023 성과적용일 2023년11월
    장내 미생물의 조성은 숙주의 성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자돈의 일당증체량과 장내 미생물 간의 연관성을 조사 하기 위하여 생후 28일령 자돈 42두의 평균 일당증체량 상·하위 10%를 대상으로 두 그룹(상위; HADG, 하위; LADG)으 로 나누어 장내 미생물을 분석하였다. 두 그룹 간 장내미생물 조성을 비교한 결과 HADG 에서 Firmicutes 문의 풍부도 가 LADG보다 높았다. 미생물 기능 예측 분석을 통해 HADG의 장내미생물은 리보솜 생합성과 메탄 대사와 관련 기능이 있으며, LADG은 질병 관련 대사와 유기화합물 분해 대사 관련 기능을 하는 미생물의 분포가 높았다. 두 그룹의 상대적 미생물 풍부도 비교를 통해 차등미생물 33개 속을 확인하였으며(LDA>2, p<0.05 ), 미생물과 일당증체량 사이의 상관관 계를 조사하기 위해 spearman’s correlation 분석을 수행하였다(|R|>4). 그 결과 일당증체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4개 속,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21개 속을 발굴하였다. 특히 일당증체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Marvinbryantia, Muribaculaceae, Coprococcus, Parasutterella 는 식물을 다당류를 SCFA로 발효하여 숙주의 에너지원을 제공하고 장내 환경 조절을 통하여 성장을 촉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연구 결과는 장내 미생물을 활용하여 일당증체량을 예측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며, 자돈의 건강과 생산성을 향상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통찰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27]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