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글 상세입니다.
논문명(한글) |
염소의 DNA 개체식별을 위한 초위성체 마커 개발 |
논문명(영문) |
염소의 DNA 개체식별을 위한 초위성체 마커 개발 |
성과주관부서 |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
품목코드 |
축산 / 중가축 / 염소 |
학술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주저자 |
김가은 |
성과년도 |
2022 |
성과적용일 |
2023년11월 |
본 연구의 목적은 염소 및 염소고기의 부정 유통을 근절하고 과학적인 혈통관리를 통한 염소 개량 효과의 극대화를 위하여 염소 개체식별 및 친자감정 DNA 감식법 개발하는 것이다. 염소의 대립유전자 판별 오류를 줄이고 분석 결과의 신뢰도와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3반복과 4반복 microsatellite 좌위들로 이루어진 새로운 염소 개체식별 유전자 마커 15종(KCH004, KCH006, KCH015 KCH027, KCH047, KCH067, KCH086, KCH114, KCH117, KCH121, KCH122, KCH134, KCH153, KCH165, KCH212)을 개발하였다. 선발된 15개의 좌위를 이용하여 염소 96두에 대하여 다중 PCR(multiplex PCR) 초위성체 유전자형 결정을 실시한 결과, 총 54개에 대립유전자가 발견되었으며 좌위별로 평균 3.60개의 대립유전자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커의 다형성과 정보력의 척도인 PIC(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s) 값은 0.090(KCH153)~0.545(KCH121)로 나타났으며 KCH006, KCH015, KCH114, KCH121 좌위들은 PIC 0.35 이상이었고 전체 15종 마커의 평균PIC 값은 0.28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어 개체식별 마커로서 다형성이 있음이 검증되었다. 개발한 마커를 활용하여 재래흑염소 (당진, 장수, 통영 계통)와 외국 5품종(알파인, 보어, 누비안, 자아넨, 토겐부르크)의 유전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총 6품종 8계통 집단과 각각의 유전자 마커의 이형접합율(Heterozygosity)을 측정하였다. 기대 이형접합율은 0.167(누비안)~0.467(보어) 범위 내로, 재래흑염소는 0.393(당진), 0.415(통영), 0.437(장수)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래흑염소(당진, 장수, 통영)와 외국 5품종들
간의 유연관계 분석은 특정 대립유전자 빈도를 근거로 한 유전적 거리의 추정으로 이루어졌다. 재래흑염소와 보어 집단 간 유전적 거리가 가장 가깝고 자아넨과 가장 먼 것으로 나타났다. 염소의 유전적 분화 양상을 확인함으로써 개발된 15종의 마커가 개체식별, 친자감정의 유전자 감식뿐만 아니라 염소 유전적 다양성 및 유연관계 분석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