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글 상세입니다.
    논문명(한글) BES 기법을 이용한 산란계사 표준설계모델의 엔어지 부하 산정과 예측을 위한 회귀 모형 도출
    논문명(영문) Energy load calculation of standard design models for laying hens using a bes technique and development of regression model fro energy load prediction
    성과주관부서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축산환경과
    품목코드
    학술지명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주저자 권경석
    성과년도 성과적용일 2023년11월
    본 연구에서는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발간한 2019년 축사표준설계도-산란계 모델에 대하여 건물에너지시뮬레이션 (BES: Building Energy Simulation, 이하 BES) 기법을 이용하여 에너지 부하 산정을 위한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지역, 건물제원, 사육규모, 지붕 및 벽체의 단열 특성치에 따른 기간 냉·난방 부하 산정을 실시하였으며, 이때 시설 내·외 부 환경조건에 따라 환기량 및 가축의 현열, 잠열 발생량이 동적으로 산정될 수 있도록 모델을 구성하였다. BES 해석 결과, 육계사 표준설계도 모델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와 유사하게 벽체 및 지붕의 단열 두께 증가에 따른 에너지 부하 변화 폭의 경우 난방 부하가 냉방 부하보다 상대적으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각 실험 조건별로 산정한 산란계 사육시설의 난방 및 냉방 부하 결과는, 향후 농림축산식품부의 축사표준설계도 개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단열 성능 향상에 따른 에너지 비용 절감 수준 및 설치 비용 등의 경제성 분석을 통해 보다 합리적인 건축물의 설계 및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산란계 사육 농장주를 대상으로 에너지 부하 자가진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마련을 위하여 조건별 난방 및 냉방 기간 부하를 예측하기 위한 회귀모형을 도출하였으며, 각각의 조정결정계수는 0.93, 0.86으로 산정되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27]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