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글 상세입니다.
논문명(한글) |
돈사 환경 미생물 군집 특성과 자돈 일당증체량과의 연관성 |
논문명(영문) |
|
성과주관부서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동물유전체과 |
품목코드 |
축산 / 중가축 / 돼지 |
학술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주저자 |
임진아 |
성과년도 |
2023 |
성과적용일 |
2023년12월 |
본 연구에서는 양돈농가 분만사의 환경 미생물과 일당증체량 간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일당증체량 차이를 보이는 양돈농가 분만사의 환경 미생물 특성을 비교하고, 분만사의 환경 미생물이 자돈의 일당증체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환경이 다른 분만사의 미생물을 채취하기 위해 일반(A) 농가와 동물복지형(B) 농가의 분만사의 바닥, 벽 및 음수대의 미생물 시료를 자돈 출생 직후부터 21일째까지 3주 동안 매주 수집하여 미생물 다양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A 분만사가 B 분만사에 비해 미생물의 풍부도와 균등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미생물 조성을 분석한 결과, A 분만사에서는 Christensenellaceae R-7 group과 Staphylococcus, Actinobacillus, Escherichia-Shigella와 같은 병원성 미생물이 B 분만사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미생물 대사 기능을 예측한 결과, A 분만사에서는 Mycobacterium 관련 대사, Staphylococcus aureus 및 Salmonella 감염과 관련된 병원성 미생물 연관 대사가 증가하였으며, 클로사이크로핵산, 클로로벤젠, 디옥신 분해 대사가 나타났다. 반면, B 분만사에서는 단백질, 비타민, 아미노산 생합성 및 메탄 대사가 높게 나타났다. 생후 21일째의 자돈의 일당증체량을 비교한 결과 B 분만사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이러한 결과는 환경 미생물이 양돈농가 분만사에서 자돈의 일당증체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환경 미생물의 자돈 장내 미생물 형성에 대한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만사 환경 미생물과 자돈의 분변 미생물 간의 상호 작용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