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글 상세입니다.
논문명(한글) |
소 성판별 수정란 생산을 위한 체외수정란 할구 분리 연구 |
논문명(영문) |
소 성판별 수정란 생산을 위한 체외수정란 할구 분리 연구 |
성과주관부서 |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
품목코드 |
축산 / 대가축 / 한우 / 기타 |
학술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주저자 |
이세영 |
성과년도 |
2023 |
성과적용일 |
2023년11월 |
본 연구는 소 2, 4, 8세포 단계 초기 수정란의 할구를 분리하여, 할구 일부는 성판별 등 유전자 검사에 활용하고, 일부는 배양하여 배반포를 생산하고 이식하기 위한 연구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도축 난소에서 난자를회수하여 체외수정란을 생산한 뒤, 체외수정 26시간, 50시간 후 2~8세포기의 초기 수정란을 선별하여 공시하였다. 수정란에 0.1% pronase를 처리하여 투명대를 제거 후 pipetting하여 할구를 분리하였고, 할구는 7~8일간(IVF=day 0) 배양하여 수정란 분리시기 및 발달 단계별로 할구의 분할율, 배반포 발달율, 배반포의 총 세포수를 조사하였다. 할구의분할율은 체외수정 26시간 후에 분리한 2, 4세포기 유래 할구가 각각 83.3%, 69.1%로, 50시간 후의 2, 4세포기의 할구28.5%, 18.1%에 비해 높았고(p <.01), 배반포 발달율은 26시간 후에 분리한 2세포기의 할구가 36.1%로 가장 높았다(p <.01). 발달된 배반포를 3.7% paraformaldehyde에 고정 후 DAPI(4', 6-diamino-2-phenylindole)시약으로 핵염색하여 총 세포수를 조사한 결과, 할구에서 유래한 배반포 모두 분리시기에 관계없이 대조구 99개에 비해 적은 세포수를 보였다(p <.01). 본 연구를 통해 할구분리는 체외수정 26시간 후의 2 세포기의 수정란을 활용했을때, 배반포 발달율이36.1%로 가장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착상 전 수정란의 성판별이나 유전자 검사시, 2 세포기 수정란을 분할하여 각각 배반포생산, PCR 등 으로 이용하는것이 효율적인 것 보인다. 또한 향후 할구분리 기술을 활용해 배반포를생산하고 이식하여 성(性) 선택적 산자를 생산하기 위해서, 할구 유래 배반포의 총 세포수 증가를 위한 지속적인 추가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