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글 상세입니다.
    논문명(한글) 한우에서 네오스포라증 혈청 유병률이 자축 생시체중에 미치는 영향
    논문명(영문) Effect of Seroprevalence for Neospora caninum against Offspring’s birth weight in Hanwoo
    성과주관부서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품목코드 축산 / 대가축 / 한우 / 기타
    학술지명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주저자 김찬란
    성과년도 2023 성과적용일 2023년12월
    네오스포라증은 소에서 유산을 야기하는 질병 중 하나이며, 세계적으로 발생하며 그 경제적인 피해가 크다. 네오스포라증은 주로 수직감염에 의해 전파되고 주중상은 유산이지만, 정상적인 분만이 이뤄지기도 한다. 그러한 경우 자축은 대부분 네오스포라증이 만성적으로 유지된다. 국내에서는 다수의 혈청 유병률 조사가 보고 되었는데 젖소와 한우에서 차이가 크고, 지역별로 농가별로 다양했다. 이번 연구는 한우에서 네오스포라증 혈청 유병률과 유산율 그리고 그 자손의 생시체중을 조사했다. 한 농장의 286두 한우를 검사한 결과, 19두의 양성 개체가 확인되었는데 이들은 모두 외부에서 도입되었거나 도입된 개체의 자손이었다. 항체 양성인 암컷 13두에서 35회의 임신이 확인되었으나 14회의 유산이 있었다. 이는 항체 음성축군의 유산율 12.3 % 보다 3배 이상 높은 유산율이다. 항체 양성축군 어미로부터 정상적으로 분만된 자손이어도 항체 양성인 개체의 생시체중(21.8±1.3 Kg)은 항체 음성축군 어미의 자손 생시체중(26.9±2.9 Kg)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가임연령 암소의 네오스포라증 혈청 유병률을 조사해서 배제시키는 것이 한우 농가에 경제적으로 유익할 것임을 시사한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27] 갱신주기 : 변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