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

    축산관련 논문을 투고한 자료를 모아 정보를 제공합니다. 관련자료가 없는 성과년도는 표기되지 않습니다.

    논문명(한글), 논문명(영문), 성과주관부서, 품목코드, 학술지명, 주저자, 연도, 성과적용일, 첨부파일, 내용으로 구성된 글 상세입니다.
    논문명(한글) 한우 공란우의 일시적 저영양과 신체충실지수 조건에 따른 체내수정란 생산 효율
    논문명(영문) Efficiency of in vivo embryo production according to temporary hypo-nutrition and Body Condition Score condition in Hanwoo
    성과주관부서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품목코드 축산 / 대가축 / 한우 / 기타
    학술지명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주저자 고응규
    성과년도 2023 성과적용일 2024년01월
    본 연구는 한우 공란우 다배란 처리에서 일시적 저영양 처리와 BCS (Body Condition Score) 조건에 따른체내수정란 생산량, 이식가능 수정란수를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축은 한우 암소 70두를 선발하여 사료급여 수준에 따른 대조구, 고영양구, 저영양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시험은 23일 동안 수행하였다. 총 회수 수정란은6.87±1.34, 10.67±2.00, 11.78±1.16, 그리고 8.20±0.97개가 회수되었다. 이식가능 수정란은 4.40±1.02, 7.33±2.18, and 8.20±0.97개로 각각 나타났다. 저양양구에서 8.20±0.97개로 다른 두 처리구(4.40±1.02, 7.33±2.18)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p<0.05) 결과를 보였다. BCS에 따른 회수된 수정란 수는 BCS 2.0이하 4.50±4.50 개, 2.5~3.0 11.19±1.34개, 3.5이상 14.58±2.38개로 각각 나타났으나, 이식가능한 수정란 수는 BCS 3.5 이상 그룹에서 10.75±2.33개로 BCS 2.0 이하 2.50±2.50개, BCS 2.5~3.0 사이 7.59±1.05개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p<0.05)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공란우 BCS 수준은 2.5 이상 유지가 필요하며, BCS 3.5 이상은 일시적인 저영양 처리가수정란 생산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해당자료에 답변이 필요하신 경우 의견남기기를 하여주십시요.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063-238-7127] 갱신주기 : 변경시